-
-
사형에 이르는 병
구시키 리우 지음, 현정수 옮김 / 에이치 / 2019년 11월
평점 :
우울한 나날을 보내던 대학생 마사야. 어느날 본가로 배달되었던 편지. 자신의 집으로 아버지가 다시 보내주었다. 그 편지에 담긴 이야기의 주인공은 연쇄 살인범 하이무라 야마토였다. 그는 어렸을적 마사야가 살았던 동네에서 빵집을 하고 있던이였다. 24건의 살인 용의에, 9건이 입건되었고, 사형 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말한다. 마지막 살인 9번째 살인은 내가 저지른 이야기는 아니다. 어차피 마지막 살인의 범인이든 아니든 그는 사형을 면하지는 못하겠지만 자신이 저지르지 않은 일까지 누명을 쓰고 싶지는 않다. 참 어이가 없다. 하나 둘도 아니고 많은 사람들을 죽인 범인이 그 하나가 자신이 한것이 아니라 억울하다라고 하는가라는 생각을 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 정말로 그가 범인이 아니라면 버젓히 또 다른 범인이 존재하는게 아니겠는가. 그의 억울한 누명을 벗겨준다는 것보다 실제 범인을 잡아야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다.
긴 고민 끝에 하이무라의 요청을 수락한 마사야는 그의 주변의 사람들을 만나며 조사를 이어나간다.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그럴리가 없다라는 것이 대부분이다. 항상 어떤 범죄가 저질러지고 범인을 잡고 주변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사람이 그럴리가 없다. 참 좋은 사람이었다라는 말을 많이 들을수가 있다. 어떻게 극악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이 저런 평가를 받을까. 하지만 흉악범이라고 해서 혹은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꼭 겉모습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마사야는 하이무라에게 서서이 매료되어 가고 어느날 문득 자신도 누군가를 죽이고 싶다는 충동까지 느끼게 된다. 그런데... 말이다. 정말로 그렇게 묘하게 끌리면서 그런 충동을 느낄수가 있을까. 어쩌면 내가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했기에 과연 그럴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마사야도 살짝 미수에 그치고 정신을 차렸지만 말이다. 하지만 종종 그런 경우로 인해 벌어지는 사건들을 접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정말로 그렇게 조종당할수가 있는 것일까.
변호사를 통해 받은 자료에서 마사야는 사진 한장은 발견한다. 그곳에 어머니가 있다. 어머니는 하이무라와 아는 사이였다. 그 속에 숨겨져 있는 비밀들을 알아가면서 마사야는 혼란에 빠지기도 한다. 글쎄 이 소설을 심리 스릴러라고 말해야 하나. 직접적인 악인은 감옥안에서 자유로울수가 없는데, 과연 버젓이 돌아다니는 또다른 살인범은 누구인가라고 주목할때 즈음 새로운 사실을 알게된다. 마사야뿐 아니라 독자들마저도 농락당했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 마지막에 도달했을때 누군가가 끊임없이 나는 주시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면 어떨까 했다. 소름이 돋지 않을까. 나도 모르게 나를 조정하고 있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