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 고발 - 착한 남자, 안전한 결혼, 나쁜 가부장제
사월날씨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12월
평점 :
해도 후회하고 안해도 후회한다는 그런 결혼의 의미를 좀 살펴볼수 있는 그런 책이다. 그런데, 저자가 여성이다 보니 아무래도 여성관점에 많이 촛점이 맞춰져 있다고나 할까. 사실 결혼이라는 것은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에게 불리한 경우들이 많은것은 사실이다. 아무래도 뿌리깊은 가부장제 탓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내들의 내조는 당연시 되고, 남편들의 외조는 대단하다고 여겨지는 현실이 참 안타깝다. 동등하게 사회 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성들에게 너무나도 슈퍼우먼이 되기를 기대하는 것 같다. 어차피 사회생활을 하려면 가사일도 열심히, 육아도 열심히 하는 것을 원하는것 같다. 왜 사위는 백년손님이 되면서 며느리는 출가외인이 되어 시집에 뼈를 묻어야만 하는지 참 의문이다.
엄마가 몇년전부터 아프시다. 정기적으로 병원도 다녀야 하고 신경쓸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조심해야할것들이 있는데, 가끔 무시하는 엄마때문에 실랑이를 벌이기도 한다. 그때 느꼈던게, 이게 딸이기 때문에 가능한것이지 며느리였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터이다. 엄마는 자식이 나하나이기 때문에 당연히 내 몫이지만, 일반적으로 아들에게 바라기보다는 며느리를 통해서 며느리에 대리 효도를 바라는 이들이 많다. 나는 지금도 느끼지만 병간호든 보살핌은 자식이 하는게 맞는 것 같다. 늘상 딸같은 며느리라고는 하지만 딸은 아니지 않는가. 비단, 이 이야기는 며느리에게만 국한되지는 않을터인데, 아무래도 여자쪽에 그 빈도가 더 높은 것은 부정할수 없다.
그런데 살짝 저자는 너무 많은 것을 한번에 바꾸고자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어쩌면 내가 저자만큼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지 않는 탓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명 우리 사회는 변화해야만 한다. 아들만큼 딸도 귀중하게 자란다. 나도 내 딸아이가 결혼을 했을 때 이 책에 언급된 상황들에 고민하지 않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법적으로 얽히지 않고 연애만 하고 살면 어떨까.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존재는 남자나 여자나 다 똑같다. 아들 안색에 따라서 며느리가 미웠다가 예뻣다가 하듯, 딸 안색을 보고 사위가 미웠다가 예뻣다가 한다. 결혼을 앞둔 여성에서 '신부수업'이 필요하다면 남성에게도 똑같이 '신랑수업'이 필요하다. 남편이 돈을 벌어다 주니, 아내의 가사일과 육아는 당연한 것이다라고 생각은 꼭 개조해야 한다. 사회 생활을 하는 여성에게 너도 돈을 버니 똑같이 가사일을 분담한다라는 사람은 본적이 없다. 집안일은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것이다. 지금 당장 사회를 변화시킬수는 없다. 하지만 계속해서 바꾸는 노력은 지속해야 한다.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던 수많은 아무개들이 일제 강점기 시절에 당장에 광복이 되리라 생각치 않았으리라. 내 후손이 살아가는 나라가 당당한 독립국가가 되기를 바랬던 것처럼 우리도 조금씩 인식을 개선하고 노력해 나간다면 분명 변화가 생길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