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고르는 여자들 미드나잇 스릴러
레슬리 피어스 지음, 도현승 옮김 / 나무의철학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1960년대 영국.

시대가 시대인지라.... 거의 60여년전 이야기 때문에 빠른 통신망을 가진 우리에게는 다소 답답함 아니면 발달한 기술력을 감사해야하나. 핸드폰도 CCTV도 없는 상황이어서.. 참 답답했던 상황이지만 그래도 주인공 케이티는 난관을 잘 헤쳐나가는 것 같아 안도감이 든다.


어느날, 케이티의 벡스힐 집앞에 화재가 발생한다. 마음씨 좋은 글로리아 아주머니의 집이다. 사람을 관찰하기 좋아하는 케이티는 그 집에 드나드는 사람들이 궁금했다. 글로리아 집으로 손님을 데려오는 한 중년여인이 있었는데, 그녀가 데려오는 이들은 대체적으로 추레한 옷을 입고 있기도 하고, 얼굴에 상처가 있기도 하고, 얼굴 전체가 부은 여자이기도 했다. 손님들의 정체가 궁금했지만 차마 물어보진 못했다. 그런데 그런 글로리아 집에 화재가 발생했고, 두 사람이 사망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더군다나 런던으로 새 직장을 찾아 떠나려고 했던 케이티에게 그 방화사건과 더불어 두 사람을 살해한 용의자로 아버지 앨버트가 지목되었다는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많은 사람의 만류에도 케이티는 아버지를 돕기 위해 방화살인범을 찾아나섰고, 어느날 납치를 당하고 만다.


글로리아의 집으로 드나들던 이들은 가정폭력을 피해 도망나온 아내들이었다. 예나 지금이나 가정폭력은 여전히 자행되고 있고 또한 경찰의 도움을 받을수 없는 사각지대에 놓여있음은 분명한것 같다. 꼭 가정폭력이 남편이 아내에게 가해지는 것만은 아니지만, 그래도 대다수가 남편보다 아내가 받는 쪽이 더 우세하지 않을까 싶다. 집을 버리고 나와서도 자신을 찾아내지 않을까라는 두려움에 온전한 삶을 살아가는 것은 매우 힘들지 않을까 싶다. 그런 이들을 돕기 위한 노력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왜 이런 문제점은 고쳐지지 않는걸까. 작가는 우리에게 참 많은 질문은 던져주는것 같다.


다행히 케이트는 무사히(?) 돌아오지만 또 한번 커다란 진실이 그녀를 기다리고 있다. 아직도 여전히 우리에게 숙제처럼 남겨진 사회의 문제점들이 아닌가 싶다. 피해자들이 더 고통받는 세상. 피해자들이 조심하지 않아 범죄에 노출되었다는 생각들이 사라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