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하늘에 쏘아 올린 화살 똑똑! 역사 동화
문미영 지음, 김언희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 난 어른이지만 동화를 읽는다. 동화책은 어린이에게 양보해야지라는 생각을 예전에 안 했던 것은 아닌데 어느날 문득 잘못사서 읽은 어린이 도서가 너무나도 재미있어서 그때부터 가끔 동화책을 읽는것 같다. 내 어린시절에도 이렇게 창작동화가 많았었는지 아닌지 기억은 잘나지는 않지만 어쨌든 요즘 동화책을 읽다보면 너무나도 부럽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다.


우리는 다른 이에 대해 잘 알기 전에 외모나 환경을 보고 먼저 판단할 때가 있어요.

때론 그 판단이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기도 하지요. 앞의 경우를 선입견, 뒤의 경우를 편견이라고해요.

- 작가의말 中, p.6 -


작가의 말에 드러나 있는 것처럼 이 이야기는 선입견과 편견에 관한 이야기이다. 고구려인들은 다용맹하다는 생각, 중국이나 신라, 백제와 인접한 국경 덕에 전쟁이 끊이질 않아서 힘이 센장수가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무열이는 수레를 만드는 것을 좋아하지, 무예나 축국 같은 운동에는 영 소질이 없다. 반면 무열이 형인 유열이는 활쏘기 등을 비롯하여 뭐든지 잘한다. 다른나라에서 온 홍화도 그런 편견 때문에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잘 생각해 보면 우리도 한민족은 아닌것 같은데 말이다. 예전에도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아무래도 그만큼 우리가 잘 녹여낸 것은 아니었던가 싶다. 지금은 살짝 아쉬운감은 없지 않아 있지만 글로벌한 시대에 한민족이면 어떻고 다민족이면 또 어떠랴.


단순한 동화이긴 하지만 선입견과 편견에 대한 이야기는 어른들도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나와 다른 것이지 틀린 것은 아닐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