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먼 인 윈도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47
A. J. 핀 지음, 부선희 옮김 / 비채 / 2019년 9월
평점 :
가끔 묵직한 책이 주는 위압감이 있다. 하지만 묵직하다고 오랜시간 들고 있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때론 얇은 책도 나와 맞지 않으면 며칠을 끌면서 글자 하나하나를 짚으며 읽어도 도무지 머리속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면 서로 뜻이 맞는다면 일사천리로 읽을수가 있다. 바로 이 책이 후자의 경우가 아닐까 싶다. 완전 내 스타일..
광장공포증을 갖고 있는 애나. 그래서 그녀는 자신을 집 안에 가두었다. 남편 에드와 딸 올리비아도 결국은 견디지 못하고 떠났다. 별거상태이긴 하지만 그들의 사이가 나쁜 것은 아니다. 매일같이 이웃들의 일상을 훔쳐본다. 그리고 비슷한 처지의 환자들에게 채팅으로 상담을 해준다. 식품이나 의약품은 배달을 시키면 된다. 주치의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향정신성 약물과 술을 함께 본다. 그러던 어느날 건너편 집에 러셀 가족이 이사를 오게 된다.
양초를 들고 찾아온 이선, 그리고 우산을 방패삼아 문을 나서다 광장공포증으로 인해 쓰러진 애나를 도와주던 이선의 엄마 제인. 그리고 누군가를 찾아 온 이선의 아빠 알리스타. 그들이 공원 건너편에 새로 이사온 러셀 가족이다. 그날도 여느날처럼 애나는 건너편을 바라보고 있었다. 우연히 제인이 칼에 찔려 쓰러지는 것을 목격한다. 애나는 살인사건을 목격했다고 주장하지만 경찰은 아무 일도 없었다고 한다. 더군다나 러셀가족은 그녀가 자신들을 몰래 훔쳐보고 있다고 한다. "내가 본 것은 정말로 살인사건이었을까?" 애나는 답답하다. 아무도 믿어 주지 않는다. 자꾸 러셀 가족과 문제가 생기고, 찾아온 경찰에게 차마 입으로 내뱉지 못했던 충격적인 말을 듣게 된다.
여러 사람이 한사람을 바보로 만드는 것이 쉽다는 말.. 모든 사람들이 애나의 병력을 들어 망상증을 가진 사람으로 몰고 간다. 당신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갖고 있어, 당신은 환각을 보는거야, 당신이 스스로 했는지도 몰라.... 어쩌면 이 상황이 딱 맞아 떨어지는 것 같다. 누군가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 그 틈을 노려서 애나를 골칫덩어리 망상증 환자로 만들어 가고 있다. 남의 집을 훔쳐보며 그들을 위협하는 존재로 말이다. 읽는 동안 혹여 이 이야기가 애나의 망상으로 결론이 나면 어떡하나라는 걱정을 했었다. 동시에 그녀의 약점을 노려 실제로 있었던 살인사건을 은폐하고자 그녀를 이용할수도 있다는 생각도 했다. 좀처럼 책을 손에 놓을수 없을만큼 긴장감을 가지고 결말까지 내내 달리게 만드는 그런 저력을 가진 이야기이다. 예전에 영화 <암살>에서처럼 '이정재가 밀정이야'라는 스포를 듣고 김이 빠졌다가 중간에 그의 정체가 밝혀지고 나서 설마 이게 끝이 아니지 하고 계속 봤던 기억이 났다. 이 <우먼 인 윈도>에서도 중간에 미리 스포를 들은것마냥 한번의 반전과 함께 애나가 환각을 본게 아닌가 하는 무게를 실어주는 부분이 있다. 그래도 긴장의 끈은 놓치 말기를.. 상상도 못했던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을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