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메이징 디스커버리 3 : 독일 - 교양만화로 배우는 글로벌 인생 학교 ㅣ 어메이징 디스커버리 3
김재훈 지음, 조성복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7월
평점 :
교양 만화로 배우는 글로벌 인생 학교
내가 어렸을적엔 <먼나라 이웃나라>가 있었는데 말이다. 갑자기 그 책이 생각나는건 왜일까. 그 책은 꽤 유명했는데 나는 안 읽은건지 못읽은건지. 별 부담없이 읽을수 있어서 꽤 좋은 것 같다. 덴마크, 부탄에 이은 3편 독일편이다. 사실 독일편에 더 관심이 있었던건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서 등장했던 독일 친구들 때문이다. 서대문 형무소를 찾아가고 DMZ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며 그리고 일본과 같은 과거를 갖고는 있지만 현실을 대처하는 다른 자세를 갖고 있는 그들이 꽤 멋져 보였었다. 그리고 다른 지역을 여행하면 박물관을 먼저 들르는 나랑 좀 비슷하다고나 할까. 그래서 참 궁금했던 책이었다.
요즘 일본이 자꾸만 우리에게 도발을 해서, 더욱더 눈길을 끌었던 것이 바로 "빌리 브란트" 독일 통일의 초석을 다진 인물이었다. 또한 2차 대전때 히틀러의 군대가 맨 먼저 침공한 나라가 폴란드 였는데, 독일군과 소련군의 틈에서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런데 빌리 브란트가 바르샤바 광장에 세워진 유대인 케토 희생자 위령탑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 지나날 일으킨 전쟁과 많은 이들을 학살한 죄에 대해 진정으로 사과한다고...


그들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뉘우침이 있었기에 이웃나라들과 녹아들수 있었던 것이 아니겠는가. 하지만 일본은 그럴 생각은 없다. 여전히 역사를 왜곡해서 가르치고 자신들의 잘못을 감춘다. 버젓이 강제징용 피해를 보신분들과 위안부 할머니들이 계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그런일이 없었을것이라라는 말로 일관하고 현재도 우리나라 대법원의 판결을 빌미로 시비를 걸고 있다. 물론 일부 독일인들도 나치를 숭상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등의 행동을 하고는 있을지는 모르지만 국가적인 입장은 아니지만, 일본은 국가적인 입장 과거를 인정하고 반성하는 기미가 보이지 않아 참 안타깝다.

독일의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그때 나도 뉴스를 통해 봤었다. 그 후에 독일은 통일을 했다. 그 후 우리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남았다. 글쎄.. 나는 별로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 엄마가 어린시절 북한에서 태어나 남쪽으로 넘어오셨지만 실향민이라고 하기엔 엄마가 기억하시는게 별로 없어서 무늬만 실향민이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북한이라는 나라는 너무나도 폐쇄적이기도 하고 오래된 분단으로 너무나도 성향이 다른 두 정부가 과연 제대로 통일이 될수 있을까라는 생각이다. 그저 비자없이 자유롭게 왕래하는 정도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긴 하다. 사실 독일의 통일과정과 현재 우리 상황은 너무나도 다르다. 약간의 평화무드가 조성되었긴 했지만 지금은 한쪽은 연일 미사일을 뻥뻥 쏴대고 있고, 한쪽은 끌려다니는 느낌이랄까. 하지만 통일은 아마 우리뿐 아니라 주변국가와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다고 본다. 독일도 통일하기전에 통일후 국경으로 확정되는 영토외에는 항구적으로 한 치의 욕심도 내지 않겠다고 약속했고, 핵, 생물학, 화학무기를 생산하거나 보유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것의 약속을 했다고 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독일은 전범국가였지만 우리는 전범국가도 아니였는데 왜 분단이 되었을까. 분단이 되려면 전범국가인 일본이 되었어야 하는것이 아닌가.
독일은 지역성이 너무나도 강해 중앙집권이 매우 어려웠다고 한다. 하지만 그런 성향이 지금은 골고루 잘사는 나라는 이루었다고 한다. 독일 연방 16개주에는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도시들이 고루 퍼져있을 정도라고 하니 말이다. 과거 이웃나라들처럼 절대왕정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반전의묘미로 지금으르 골고루 잘사는 도시를 갖게 되었다고 하니 참 배울게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교양만화로 배우는 글로벌 인생 학교"라는 말이 맞을 정도로 옛역사부터 머리속에 쏙쏙 들어온다. 원래 세계사에 세계지리는 내게 무진장 어려운 것인데, 자꾸 이렇게 보다 보면 익숙해지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