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재가 노래하는 곳
델리아 오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살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를 보면 참 재미있는데, 카야가 처한 상황을 몹시 화가 나기도 한 그런 이야기였다. 늪지대에서 사는 카야. 어느날 엄마가 떠나고 언니와 오빠도 떠나고 카야는 집안일에 대해 별로 관심없는 것 같은 아빠와 단둘이 남았다. 하지만 아빠는 있으나 마나 한 존재였다. 여섯살 카야는 그렇게 세상에 홀로 남겨졌다.


이 소설은 1969년 10월 30일 체이스 앤드루스의 시체가 발견되는 한축과 1952년 엄마가 판잣집을 떠나는 시점을 한축으로 하여 이야기가 진행된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면서 두 이야기의 간극이 좁아져 갈때 사건의 전말에 더욱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


왜 그들은 여섯살 카야를 혼자 놔누었을까. 보호와 관심속에서 살아야 하는 어린 카야를 그들은 방치해버린다. 사회복지사들이 찾아오고 카야가 학교에 다닐수 있도록 하지만 아무래도 문명의 세계보다 자연이 그리고 늪이 오히려 그녀에게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카야는 혼자 늪에서 사는 법을 터득한다. 그리고 그옆에 글을 가르쳐 주는 테이트와 부모와 같이 돌봐주는 점핑과 메이블이 있어 카야는 한층 더 빛나게 된다.

 

아마도 야생동물을 연구해온 과학자라는 저자의 이력때문인지 꼭 습지에서 카야와 함께 하는듯한 착각에 빠질정도로 표현이 정교하다. 또한 시간을 오고가면서 서로 어울리지 않을 이야기가 '습지에 사는 그 여자가 그랬을지도 몰라. 완전히 미친년이잖아'라고 수근거리는 마을 사람들의 대화로 습지에 사는 그 여자가 카야라는 것을 짐작하면서 이야기에 점차 더 속도가 붙으면서 어떻게 과거와 현재가 만나게 될지 궁금증을 유발하면서 책에서 손을 떼지 못하게 한다. 때묻지 않은 순수한 그녀를 궁지로 몰아가면서 놀라운 결말을 이끌어낸 이토록 멋있는 소설에 박수를 보낸다.


어디선가 '가재가 노래하는 곳'에서 평온해질 카야가 보고싶은 그런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