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빵과 서커스 -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의 증언
나카가와 요시타카 지음, 임해성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4월
평점 :
이 책을 첫 시작을 들어가면서 새삼 내가 세계사에 얼마나 무지몽매한지를 절실하게 느꼈다. 로마제국이라고 함은 이탈리아 반도 및 유럽 그리고 지중해를 넘어 북아프리카와 페르시와와 이집트까지 지배하였던 고대 최대의 제국이라고 하는데, 처음 이 책 표지를 보고선 이탈리아 로마만 생각했으니 내가 생각해도 참 어이없다. 이래서 사람은 평생을 배워야만 하는가보다.
"빵과 서커스"라는 말은 로마가 시민들에게 제공한 식량(빵)과 오락 및 휴식거리(서커스)를 가리키며, '포퓰리즘(populism)'의 대명사로 쓰이는 표현이라고 한다. 행복한 시대에는 전란도 없을테고 식량문제도 없을 것이며, 또한 자신의 여가를 충분히 즐길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가에서 이를 제공한다는 것은 국민이 행복하다기 보다는 무언가로 시선을 돌리기 위한 행동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얼핏 들었다. 프로야구와 프로축구가 출범한 계기도 민주화를 간절히 원하는 국민들의 시선을 돌리기 위한 목적이 숨어 있었다는 이야기가 생각이 났다. 역시 정치적인 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는 것을 그래서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확 와닿는다.
이 책이 특이한 점은 역사가나 역사 애호가의 관점이 아닌 엔지니어의 관점에서 쓴 로마이야기이다. 현재 "남겨진"것들이 말해주는 "사라진" 로마의 이야기이다. 같은 분야는 아니지만 어쨌든 한때 나도 엔지니어의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 이야기가 조금 어려웠는지는 모르겠다. 아마 첫 시작을 가볍게 했던게 문제였으리라 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책이 좋은 이유가 그냥 내 시선에 낡은 건축물로만 보이는 것에 숨겨진 이야기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냥 옛날 건물이야~, 그냥 옛날에 경기장이었데~"라는 보이는 것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숨어 있는 다채로운 것을 알게 되는 책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