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곡
윤재성 지음 / 새움 / 2019년 3월
평점 :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동네 백수 형진. 아르바이트를 마치고 돌아오던 밤, 그들이 살던 원룸 뒤편에서 수상한 사내와 마주친다. 그는 형진에의 얼굴에 불을 뿜고, 여동생이 있던 원룸 건물까지 송두리째 태우고는 사라진다. 얼굴이 일그러진 그는 분명 '입에서 불을 뿜는' 방화범이 있다고 아무리 외쳐도 아무도 그를 믿어주지 않았다. "방화범이 앗아간 것은 인간의 자격이었다"
한사람의 화자로 이야기가 진행되게 되면 다른 시각이라든가 다른 사람에게 벌어지는 일은 후에 설명으로 알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이야기는 등장인물들의 다른 시각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여러사람의 시선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보다 더 역동적이라고 하고 싶다.
이런 큰 화재를 실제로 본건 몇년전 우리집과 몇블록 떨어지지 않은 곳이었다. 검은 연기가 아파트 저편에서 피어오르고 소방헬기가 하늘에 뜨는 것을 보고 화재가 크게 났다고 생각했는데, 뉴스로 보고 정말로 엄청난 화재라는 것을 알았었다. 아무래도 동네다 보니 다음날 근처를 가보기도 했는데, 매캐한 연기가 나기도 했고, 건물 옆에 있던 집은 완전히 전소되었었고 피해도 꽤 심했었다. 몇년이 흐른 지금은 많이 복구가 되긴 했지만 그래도 그곳을 지나칠때는 아직도 그 때가 생각나는데, 그 일을 직접 겪었던 이들은 어땠을까.
이 이야기 속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도 서울 곳곳에서 방화가 일어나고 사상자가 많이 나는 대형 화재였다. 그런 화재를 정치인의 야욕에 이용되면서 진실을 밝히려는 이들을 권력을 이용해 무마시키려는 일련의 사건들이 지속된다. 서울시장까지 바뀌고 대통령의 자리까지 위협받는 거대한 테러로 이어지는데... 이야기가 계속되면서 드는 의문점이 정말로 이런 테러가 일어날수 있을까. 단순한 방화라기 보다도 거대한 건물을 형체도 없이 사라지게 할만큼의 화재이니 현실성이 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했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어쩌면 방화가 아니더라도 우리 사회에선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테러가 생길수도 있을 것이라고 보여진다. 그 테러의 배후에는 우리를 꽤 위한다는 권력을 꾀하는 사람들이 있을수도 있겠다. 그래도 한가지 바람은 정말 소설속 이야기로만 끝났으면 좋겠다. 현실에서도 일어난다면 소름이 끼칠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