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카기 김하연님도 예전부터는 알았었는데... 이용한님 블로그에만 드나들다가, 우연히 이웃을 쫓아가서 <고양이 인식 개선 광고 프로젝트>라는 '티클 모아 광고'프로젝트를 후원하려다 김하연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1350여명의 후원과 3천여만원의 후원금으로 홍대입구역만 진행하려던 광고가 전국 대도시에서 진행될수 있었다. 서울에도 지난 6일부터 홍대입구역에 게재되었고, 나도 담주 중에 한번 찾아가보려고 한다.
고양이는 자신이 위협받지 않는한 절대로 먼저 공격하지 않는다. 유독 우리 나라 고양이들만 위축되어 있고 사람들을 보면 슬슬 피하는 것을 보면 아직도 우리나라의 길고양이에 대한 인식이 좋지 못하기도 하나보다. 나도 몇해전 여러군데 급식소를 운영하던 동네분에게 자리를 이어받아 계속 밥을 주고 있는데, 초반에는 밥주지 말라는 경고문까지 있었지만 나름 요즘에는 여기저기 급식소가 생기고 우리 동네는 살짝 인식이 좋아진 것 같다.
솔직히 고양이들도 계속해서 먹을것이 공급된다면 일부러 주택가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찢지 않아도 되고, 사람들은 쾌적한 환경을 가질수 있다. 주택들이 밀집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해도 이것은 사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닐터, 원래 그들의 터전을 갈고 닦고 한 것이기 때문에 함께 공존할수 있는 방법을 택해야 하는 것이 옳지 않겠나 생각을 해본다.
만약 당신이 겨울마다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고양이가 귀찮고 출근할 때 차에 고양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일이 번거롭다면, 아니 그들이 눈에 보는 것만으로도 싫다면 더욱더 그들이 길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돈과 시간을 쓰고 몸까지 축내가면서 길고양이를 돌보는 캣맘이 하는 일을 방해하면 안된다.
길고양이를 위해 집을 만들어 핫팩을 넣어 주고 밥까지 챙겨주는 캣맘이 마음 놓고 길고양이를 돌볼수록 당신이 싫어하는 길고양이를 건물 안에서 볼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지고 피해도 줄어 들 수 있기 때문이다.(P.181)

너무나도 예쁘게 생긴 이 아이가 삼팔이이다. 그리고 이 아이가 홍대입구역 광고모델이기도 하다. 이 친구의 이야기를 이 책 말미에서 보았다. 어느날 아무 기별 없이 흔적없이 사라졌다고 한다. 하지만 이 귀여운 아이는 어디선가 꿋꿋이 살아갈꺼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