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여서 괜찮은 하루
곽정은 지음 / 해의시간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성장과정에서 주양육자의 따뜻한 관심과 배려가 부족했던 사람은, 성인이 되어 만나는 사람과 건강한 애착 관계를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흔하다. '나는 사랑받을 가치가 있어'라는 생각보다는 '나는 사랑받기 힘들거야'라는 생각, 즉 관계 내에서의 열등감이 마음 속에 이미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본문中,p.117)


앞서 읽었던 <혼자를 권하는 사회>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 같아 적어봤다. <혼자를 권하는 사회>가 개인을 고립시킨다는 뉘앙스를 풍겼다면 이 책은 고립이라는 말보다는 싱글라이프에 더 촛점을 맞춘다고나 할까. 나도 가끔은 비가 오면 엄마가 우산을 가져다 주었으면 학창시절에 그러했던 것 같은데, 지금의 내가 삶에 지쳐있는걸 보면 엄마도 그때는 삶에 지쳐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엄마는 어쩌다 한번이었지 매번은 아니었다. 간혹 엄마가 오지 않는 날은 비를 맞고 간적이 있었는데, 그때 가방속 책들은 어땠나 곰곰히 생각해 보았지만 떠오르진 않았다.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는데 있어서 이런 열등감은 넘기 힘든 장애물이다. 하지만 심리학자 아들러는 열등감을 '모든 인간에게 존재하는 감정'으로 보았다. 그런 열등감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따라 삶의 결이 달라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얼마전에 스트레스가 많아서 외박을 한적이 있었다. 말이 좋아 외박이었지 몇시간의 가출(?)이었다. 여럿이 부대끼며 살아가지만 가끔씩 혼자 고민하고 싶을때가 있다. 오롯이 나만을 위해서.. 언제부터인가 내 생일에 나에게 선물을 한다. 얼마나 대견스러운가, 힘든 세상 열심히 살고 있는데 꼭 남에게만 위로를 받을 필요는 없다. 내가 나를 토닥여 주는 것도 좋지 않을까.


특히, 이 책에서 눈길이 갔던 이야기는 마틴 셀리그만의 '삶의 세가지 길'이다. 삶을 추구하는 방식에는 세가지 길이 있는데 바로 그것이 '즐거운 삶', '몰입하는 삶', '의미 있는 삶'이다. '즐거운 삶'은 많은 사람들이 소위 '남부럽지 않게 산다'고 말하는 모습에 가깝고, '몰입하는 삶'은 주어진 일에 몰입하고 그 안에서 크고 작은 성장과 좌절을 경험한다. '의미 있는 삶'은 자기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너무나도 나만을 희생하면서 사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고민이 깊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