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에게 안부를 묻는 밤 - 세상에서 단 한 사람, 든든한 내 편이던
박애희 지음 / 걷는나무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기 전부터 울지 않을까 내심 걱정을 했었다. 아니나 다를까 첫페이지를 읽는 순간부터 눈물이 나기 시작했다. 굳이 울면서 책을 왜 읽냐는 핀잔도 들었지만 자식에게 '엄마'라는 단어는 애증의 단어 같다. 그래서 누구라도 같은 입장이 된다면 공감하지 않을까. 항상 든든한 배경이 되어주던 엄마가 세상을 떠났다. 엄마의 병이 재발했고 그리고 엄마는 떠났다. 그래서 더욱더 공감하고 눈물이 나지 않았을까싶다.
엄마는 아침마다 아프다고 했다. 나는 왜 그 때 알지 못했을까. 왜 엄마한테 짜증만 냈는지 모르겠다. 우연히 책에서 본 증상이 엄마와 똑같아서 그제서야 알아차렸다. 엄마가 많이 아프다는 것을... 이제 더이상 엄마가 나의 보호자가 아니라 내가 엄마 보호자가 되었고, 엄마의 상태를 받아들여야 했던 지난날이 아직도 생각이 나서 저자의 글에 더 동질감을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면서도, 그러면 안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엄마한테 짜증을 내기도 한다. 나를 제일로 많이 이해해 줄 든든한 내 편이라는 생각에서인지 모르겠다. 모든 자식들에게는... 대부분의 자식들이 다 그럴것이라고 본다.
나는 중간적인 입장이다. 딸이면서 그리고 엄마이기도 하다. 딸아이가 지딴에는 열심히 공부했는데 생각한 것만큼 성적이 좋지만은 않았던 날이 있었다. 학교에서는 그냥 속상만 했었는데, 친구들이 말을 걸지도 못할만큼 표정만 어두웠는데 집에 들어서서 내 얼굴을 보는 순간 딸아이는 그냥 눈물을 쏟아내는 것이었다. 나중에 들어보니 울정도는 아니었는데, 그냥 엄마 얼굴 보는순간 눈물이 하염없이 쏟다졌더라는 딸아이 말이... 너에게는 바로 그런 존재구나 했다. 그냥 아무 이유없이 마음놓고 울 수있는 존재였구나.. 내게도 엄마가 그런 존재였겠구나.
엄마, 내 핸드폰에는 여전히 엄마 번호가 저장돼 있어.
전화번호를 검색하다가 가끔 '엄마'가 나올 때가 있는데, 그때마다 가슴이 찌릿해.
한번은 나도 모르게 엄마 번호로 전화를 했다가 끊은 적이 있어.
엄마 핸드폰은 이미 해지했고,
전화하면 낯선 이가 받을걸 알면서 왜 그랬을까.
- 당신이 안부를 묻는 밤 1 (p.74~75) -
나도 그럴까 겁이 난다. 아직 생각하고 싶지는 않지만 말이다. 가끔 엄마가 주무시는 모습을 보면, 젊은 엄마의 모습은 없고 늙은 노인만이 남아 있다. 그 모습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까지의 시간은 참으로 많이 걸렸다. 우리딸도 나중에 내가 늙어가는 모습을 보면, 내가 아픈 모습을 보면 나처럼 마음 아프겠지. 받아들이기에 많이 시간이 필요하겠지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눈물이 났던 이유는 자식이기 때문에, 그때 몰랐던 것을 엄마가 되고서 비로서 알게 된 것에 대한 후회와 엄마와의 이별뒤에 느끼게 될 그런 공허함이 두려웠던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세상에서 단 한 사람, 든든한 내 편이던 엄마에게 안부를 묻는 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