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 있는 모든 순간
톰 말름퀴스트 지음, 김승욱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저자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띠지의 "전 세계 엄마와 딸을 울리 한 남자의 감동 실화"라고 씌여있는데, 그것을 모르고 저자의 자전적 이야기인가라며 추측을 하다니.. 참나...10년을 함께 살아온 톰과 카린, 결혼식을 앞두고 카린은 급성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난다. 7주 빨리 세상에 태어난 리비아와 톰을 남기고..

 

이 소설의 특징은 따옴표가 없다. 주제 사라마구의 <도플갱어>에서 이런 기법을 처음 만났는데 그 때 당시에는 참으로 신선했다. 자칫 대화를 놓칠수도 있기에 내용에 더욱더 집중을 해야했다. 그러다가 가끔 주제 사라마구는 독자에게 말도 걸어오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은 설명보다는 대화가 더 주를 이룬다. 친절하지 못하게 문단나눔도 적다. 처음에는 그래서 책을 읽는 것이 어색했지만 아마도 새로 태어난 딸과 사경을 헤매는 아내를 보내는 심적 고통을 표현하는 방법이 아닌가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의 마음을 서술적으로 그려낸다기 보다는 그의 입을 통해 감정을 고스란히 전해준다고나 할수 있겠다.


특히나 이곳 스웨덴에서도 결혼하지 않은 부모에게서 태어나는 아이는 법적으로 엄마의 성을 따라야 한다. 그리고 리비아처럼 엄마를 잃은 아이는 법적인 절차에 따라서 아빠임을 입증하고 법적관계가 되어야 한단다. 언젠가 우리나라에서도 미혼부의 아이가 출생신고를 하지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는데, 그래서 법안을 발의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는데,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듯 싶다.


이 이야기는 시간이 과거와 현재를 오고가기 때문에 읽는데 주의가 좀 필요하다. 과거 카린과 톰의 이야기와 카린의 장례문제, 그리고 한층 자란 리비아의 이야기가 서로 교차되며 이야기가 진행된다. 처음에는 좀 낯설지만 차츰 이야기에 빠져들어 어느새 마지막 장을 덮게된다.


독감인줄만 알았던, 그러나 그것이 급성 백혈병이라는 진단을 받은 아내, 그리고 갑작스레 다가온 아내의 죽음. "소중한 사람에게 안부를 물을 수 있는 날이 얼마나 남았을지, 우리는 모른다"라는 말이 더 절절하게 마음을 파고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