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앨리스가 오늘의 앨리스에게 - 여전히 보이지 않지만 아직도 찾아 헤매는 삶의 소중한 것들!
루이스 캐럴 지음, 존 테니얼 그림, 로렌 라번 글 / 북앤펀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50년이 지나도 전세계 여성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동화 주인공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오리지널 그림과 글로 전하는 인생 조언

몇해전 곽아람님의 <어릴적 그 책>을 본적이 있다. 좀처럼 맘에 들지 않으면 책을 두번 읽지는 않는데... 다른 사람들도 그럴까?
내가 어렸을 땐 어떤 책을 읽었나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헌책방을 뒤져가며 구했던 김동인님의 <젊은그들>이랄까, 현진건님의 <무영탑>이..
중학생 어린 시절에 읽었던 그 느낌과 어른이 되서 읽었던 그 느낌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 이상한 나라 앨리스 >도 내용은 거의 다아는 하지만 자세하게 읽지는 않았다가 어른이 되서 
비로소 느꼈던 생각들이 있었다.
그런데 또 이렇게 이 책으로 보니 다시한번 원작을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게 되었다.

미처 알지 못했던 사실이, 앨리스는 아동문학 역사상 최초의 여자아이 주인공이라고 한다.
1865년에 출간되었다고 하니 그 시대에 순종과 도덕을 가르치는 기존 동화와는 달리
평범한 여자아이의 모험 이야기는 가히 쎈세이션을 불러올만 하지 않았을까 싶다.

150년전 원서 그대로의 오리지널 그림과 글로 매 페이지를 채운 이 책의 울림은
그리 낯설지 않은 것이다. 
지금도 여전히 문제를 유발하는 것들이고, 
지금도 우리에게 여전히 필요한 출구이기도 하다.
마치 150년 저자가 타임슬립을 해서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한후 
다시 돌아가서 이 이야기를 쓴게 아닐까 착각이 들게 한다.

가끔 아이들이 살아가는데 필요없는건데 왜 이런것을 배워야하냐구 질문할때가 있다.
맞다, 방정식을 배우지 않아도, 유전을 배우지 않아도 삶을 살아가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가 딱 좋은 답을 찾았다.
네가 배운 지식을 너의 삶 속에서 활용할수 있어야 해(p.111)
앨리스는 "아마도 분명 지구의 중심에 가까워졌을 거야. 그럼 내가 6천킬로미터 정도 떨어졌다는 말이네"라고 한다.
앨리슨는 분명 학교에서 지구의 반지름이 6400km인 것을 배웠을 것이다.
그러니 앞으로 적어도 400km 이내에서 자신이 어떻게 해야할지 결정을 내려야겠지. 
아니면 어디쯤 왔는지 알수 있겠지.

왜 우리는 우리가 배운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만을 기대할까.
그것을 삶 속에서 활용할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만 우리 삶이 한걸음 나아가는 것이 아니겠는가.
왜 그들은 나중에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알면서 굳이 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일까.
그 자체를 박차고 나갈 용기도 없으면서 말이다.

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오랜 시간을 넘어 현재의 앨리스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
귀 기울여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