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어디까지 알고 있니? 푸른숲 생각 나무 12
크리스 모나 지음, 디디에 플로란츠 외 그림, 이세진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솔직히 난 학습만화 별로 안좋아한다. 딸아이 어렸을 적에 마지못해 < Why > 책을 사주었지만, 이런 사진과 글책을 좋아하는 편이다. 밤하늘을 바라보면 보이는 저 광활한 우주에는 어떤 비밀들이 있을까. 밤에 항상 난 달을 찾는다. 달의 모양을 보고 지금 태양은 어디있겠다라면 가늠하는게 버릇이 되어 버렸다. 게다가 올해는 슈퍼문, 블루문, 레드문이 겹쳤던 해이다. 밤에 집에 돌아오다가 하늘을 보면서 한참이나 그 광경을 바라보았다. 현란한 이 우주쇼를 왜 사람들은 쳐다보지 않는걸까. 아마도 직업과도 관련있다 보니 더 눈이 가고 더 관심이 갈수도 있겠다 싶다. 덕분에 딸아이도 책외에도 주절주절 내게 듣는 이야기도 많다. 

난 아직도 강화도로 수련회를 갔을때의 하늘을 잊지 못한다. 비록 별자리를 찾지는 못하지만 내 10대 시절에 보았던, 그야말로 별이 쏟아질것 같던 그 하늘을 다시 볼수 없을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 내가 얼마나 오래 살았던지 이 책을 읽으면서 기억나는 사건도 많다 1986년 챌린처호가 이륙한지 73초만에 폭발한 사건, 1994년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목서어 충돌, 2003년 화성탐사 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2013년 태양계를 벗어난 무인우주선 보이저 1호도 기억난다. 다 커버린 딸아이와 이 책을 같이 봤는데, 마치 나를 신기한듯 쳐다본다.

아이들도 이런 책을 보고 우주를 궁금해하면서 우주를 꿈꿨으면 좋겠다. 우리나라도 2013년 나로호 발사에 성공했고, 2021년 누리호 발사를 온전히 우리 기술만으로 발사시키려고 하고 있단다. 과학자라는 꿈을 갖는 아이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다만 이 책에 약간 아쉬운 점은 주로 태양계를 중심으로만 그리고 지구 주위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얼마나 많은 별이 존재하는지 은하단 정도 더 첨가했다면 좋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우주는 정말로 넓으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