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딩하는 소녀 ㅣ 라임 청소년 문학 36
타마라 아일랜드 스톤 지음, 김선영 옮김 / 라임 / 2018년 11월
평점 :
요즘 하도 코딩코딩 하길래 코딩이 과연 무언가 궁금했는데,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하는 것이네.. 대학신입생 시절 'FORTRAN' 을 배웠었는데, 연산을 하지 않았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 당시 동아리가 컴퓨터 관련이라.. 남자 동기들은 C++ 언어를 공부하면서 프로그램을 짜면서 게임도 만들고 했던 기억이 있는데, 아마도 요즘에 스마트폰부터 테블릿PC등 IT 기기가 발전되면서 다시 주목을 받는 것이 바로 코딩이지 않을까 싶다.
앨리는 방학중 코딩 캠프에 참가한후 나랑 딱 맞는 친구를 찾아주는 앱인 '클릭드'를 만든다. 몇가지 프로필을 입력하면 이 앱을 구동중인 사람들 중에서 자신과 가장 근접한 사람을 찾아주는 것이다. 그 사람의 신상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근처에 그사람이 나타나게 되면 신호가 울리고 만나면 인증샷을 한번 찍으면 서로가 몇번째로 일치하는지를 알려주는 앱이다. 꽤 창의적이고 재미난 프로그램이다. 선생님의 추천을 받아 '좋은 세상을 위한 게임'에 나갈수 있게 되었다.
대회가 끝난후 전체 공개를 하려고 했던 앨리는 본인뿐 아니라 네이선도 함께 출전하는 것을 알고 성급하게 전체 공개를 결정한다. 클릭드에 가입한 아이들을 계속에서 늘어나기 시작했고 앨리도 이대로 가면 네이선은 물론이고 대회에서 우승하리라 확신을 갖게 되었다. 그러다 프로그램의 충돌로 인해 예기치 않은 개인정보다 유출되면서 이상한 방향으로 가면서 이를 바로잡고자 앨리는 동분서주한다.
아이들의 창의성을 길러주는 외국의 이런 교육환경은 참 부럽다. 언젠가 그들은 교육과정을 마치만 많은 이들이 창업을 한다고 들었는데, 우리나라는 그에 반해 대기업의 입사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게 된다. 우리도 정책적으로 기반이 확실하다면 많은 젊은이들이 창의적인 활동을 많이 할수 있을까. 그러나 한편으로는 인간관계도 기술에 의존을 해야 하는 것이 편하지는 않다. 하지만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점을 높이 사주는 어른들의 태도는 배워야만 할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