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 않는 마음의 비밀
대니얼 리처드슨 지음, 박선령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 않는 마음의 비밀이라.... 이유를 알겠다. 좀 어렵다. 그래서 아마도 알려주지 않는가보다. 아무래도 좀 전문가적인 이야기다 보니, 이해가 가는 부분도 있고, 어려운 부분도 있고, 쉽지만은 않은것 같다. 옛말에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속은 모른다'더니 딱 그짝인것만 같다. 인간은 너무나 오묘해서 하나로 일반화시키기는 어렵지 않은가라는 나만의 결론에 도달했다. 그래도 그 가운데서 일관된 규칙을 찾아낸다는게 너무나도 신기하기만 하다.
이 책은 9가지 쳅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초반에는 사실 이게 심리학에 관련된 일인지 아니면 뇌와 눈에 관련된 과학 이야기인지 많이 혼란스러웠다. 그런데 읽어나가면서 서두에 그런 이야기를 배치한 것이 약간 이해는 가게 되었다. 아마 앞서의 이야기가 언급되지 않았더라면 읽는데 매우 힘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인지 부조화'화라는 것이다. 인지부조화란, 우리의 생각과 행동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느끼고, 그것들 사이에 모순된 부분이나 불일치하는 사실이 있다는 느낌이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그렇게 모순된 상황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욕구'가 아주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적어도 자기 자신에게는 이치에 맞는 모습을 보이려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지부조화로 인한 불쾌한 감정을 가지면서 이 불협화음을 없애야 한다는 욕구를 느끼기 때문에, 자신의 신념을 바꾸고,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이치에 맞을 때까지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렸을 적에 종말이 온다고 사이비 종교를 믿고 전재산을 기부하면서 방송에서도 그 모습을 대대적으로 했던 것을 기억한다. 지금처럼 인터넷이나, 케이블 방송이 없었때이므로 볼거리가 별로 없었던 때이기도 했고, 세상이 끝난다는데 왜 두려움이 없었겠는가. 그런데 12시가 딱 지나고 나도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면서 왜 사람들은 미치광이처럼 그런 말을 믿을까. 이제 세상의 종말도 오지 않았으므로 저 사람들은 저 종교를 믿지 않겠지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렇게 그들의 예상이 빗나갔을때도 그들의 믿음은 훨씬 더 굳건해진다고 한다. 만약 그들이 믿음을 거부할경우 불협화음이 더 커지므로 그들 스스로를 이성적이고 현명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제 와서 사이비 종교를 거부한다면 "시간과 돈을 아무 이유도 없이 낭비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하므로 압도적인 인지 부조화가 일어나게 될 것이므로 이를 극복하는 것이 여전히 그 믿음을 굳건히 하는 것이란다. 참 알다가도 모를 인간의 마음이 아닐수가 없다. 그래서 가끔씩 현실을 부정하는 일들이 벌어지는 것일까..
이 외에도 편견에 따른 '기본적 귀인 오류'라는 현상도 있다. 모두 설명하면 재미가 없을테니 궁금하면 직접 읽어보시는 편이 좋을듯 싶다. 어려운 책이었으나 일부는 딸아이와 함께 읽으면서 의견도 교환하니 좀 쉽게 읽히는 것 같았다. 이 책을 읽으면 '보다 완벽하게 사람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단서가 될것'이라고 설명을 하는데,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여러 실험으로 입증된 이야기도 조금은 한 길 사람속에 다가갈수 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