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 젠더 고정관념 없이 아이 키우기
크리스티아 스피어스 브라운 지음, 안진희 옮김 / 창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의 고정관념이라.. 참으로 공감된다고나 할까. 나는 딸아이만 하나있다. 항상 나의 아버지는 딸아이에게.."여자가, 여자가.."란 말을 많이 하신다. 솔직히 그런 이야기를 나도 듣기 싫어한다. 이는 아무래도 나이 많으신 아버지는 여자가 사회에 진출이 적었던 시대를 살아오셨기에, 그리고 우리나라의 인식 또한 여전히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음에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딸아이가 사회에 필요한 일꾼으로 자라기를 바란다. 남자도 여자도 아닌, 본인의 능력을 맘껏 발휘하면서.. 앞으로도 우리 사회가 많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은 젠더 교육이라는 것이 어떤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참으로 생각을 많이 하게 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동의 할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임신중에 흔히들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딸이예요, 아들이예요?"라는 것이다. 저자는 영리하게도 "그냥 아기예요"라고 대답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이 대답이 과연 영리한 것일까.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다. 단순하게 질문한 사람은 딸인지 아들인지 성별이 궁금했을지도 모른다. 혹은 나중에 선물을 줄수도 있을 문제였다. 저자는 딸아이의 선물이 대부분 분홍색이라 다른 색과의 비교해서 결정할수 있기를 원해 본인은 다른 색을 주로 사준다고 하는데 그렇게 대처하면 될껄 굳이 "그냥 아기예요"라는 답변은 결코 영리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나도 너무 단순한걸 너무 공격적으로 반응을 한 것일까?


이 세상에 남자답게, 여자답게는 없는것 같다. 아마도 아주 옛날 선사시대처럼 모계사회가 중심이었다면 여자답게는 용맹한다거다 리더쉽이 강하다거나 했으면 그만일 것이다. 혹은 남성이 중요한 일을 하고 여성들은 내조하는 시대였다면 남자답게 여자답게라는 말이 일리가 있겠지만 지금은 여성도 사회에 진출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젠더의 개념이 아닌 개인별의 능력으로 대우를 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자아이는 꼭 분홍색 계열의 인형만을 남자아이는 푸른색의 비행기 장난감을 이런건 당연히 피해야 겠지만 남자와 여자로 나뉘어서 태어나기 때문에 어느정도 성정체성이 성립할수 있을 정도의 개입은 필요하다고 본다. 물론 내 개인적인 의견일뿐...


아이들을 키우는건 참 힘들다.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더 잘 키울수 있을까? 아마도 그래서 이런 책들을 찾아 읽고 관심을 갖는것 같다. 내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 우리딸은 가지고 있는 능력 그 자체로만 인정받을수 있기를, 그런 사회가 오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