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 24시 - 상
마보융 지음, 양성희 옮김 / 현대문학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내게는 첫시작이 좀 더딘편이었다. 아마 집중을 못했던것 같다. 하지만 이내 속도가 붙었다. 역시 역동적인 소설같다.

원래 계획은 하권까지 모두 읽고 서평을 쓰는것이었지만 초반에 너무 게으름을 핀 결과(재미없어서기 보단 정신이 딴데 있었다.) '상'권만을 소화하고 곧이어 하권으로 사건의 전말을 맞이해야겠다.


당을 상대로 하는 최악의 테러. 24시간 내에 위기의 장안성을 구해내야 하는데, 왜 굳이 사형수인 장소경에게 그 임무를 맡기는 것일까. 상관을 죽인 탓에 사형수가 되었지만 그의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알기에 가에게 장안성의 운명을 맡기고자 한다.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장소경이 사형수가 된 사연이 조금씩 드러나게 된다. 장안성에서는 괴물이 되어야 한다지만 그는 너무 올곧고 충성심이 강했기에 비뚤어진 야욕을 가진자의 타켓이 되었으리라 본다. 장소경의 고군분투에도 일은 풀리지 않고 자꾸만 꼬여간다. 그리고 더 큰 음모, 의외의 첩자들이 드러난다.


이 책을 읽을즈음 아마 속도가 붙지 않았던 이유중 하나가 예전 드라마 '유령'탓도 있었다. 그 드라마에서도 진실을 밝히려 노력들을 하지만 번번히 돈과 권력때문에 저지당하게 된다. 물론, 상권도 600여 페이지에 이르고 하권도 500여쪽이 달하니더 큰일도 있을 테고 주인공인 장소경에게도 더 큰 위협이 존재하며, 또한 그 일들을 잘 헤쳐나가겠지만, 늘 우리를 씁쓸하게 하는건 소위 돈과 권력을 가진자들의 나쁜 야욕 때문에 희생당하는 평범한 이들이라는 사실이다. 현재에 일어나고 있는 일이 과거에도 똑같이 일어난다고 하는 지층의 선후 관계를 따질때 말하는 "동일 과정의 원리"처럼 현재 사회에 일어나는 온갖 부조리나 갑질이 소설속 배경이 되는 예전에도 끊임없이 반복되었다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하지만 소설속에서라도 그 부조리가 통쾌하게 해결이 되었음 하는 바람이 든다.


이야기를 보다 관심을 끄는 것 중 하나가 소식을 전하는 망루이다.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소식을 전할수 있지만 예전에는 참 더디고 불편할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곳에선 비록 개인적 서신은 아니더라도 망루가 그 역활을 대신한다. 상권의 마지막까지 소경편이었던 망루의 체계가 끝까지 배신하지 않을지 궁금하다. '돌아오지마라'란 간절한 외침이 '어서 돌아와 구해달라'는 S.O.S처럼 들린다. 과연 하권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매우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