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
임재희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아.. 솔직히 나는 단편에 약하다. 이야기에 집중할때쯤 끝나버려서, 당황스러울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그래서 단편을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다. 이 책은 제목이 워낙에 강렬해서인지 모두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던, 그래서 어딘가에 속하고 싶은 사람들의 이야기처럼 보였다.
9편의 단편중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동국>이다. 아버지 장례식 부조금을 정리하다 발견한 낯선이름, 최동국.. 누군지 몰라 가족끼리 서로 의아해하다가 혹시 작은엄마의 이름일지도 모르겠다는 엄마의 말씀. 항상 작은엄마, 혹은 누구누구 엄마라고만 불렀지 작은엄마의 이름은 정작 알지 못했다. 부모님의 형제들의 이름은 알수는 있지만 그 배우자의 이름은 잘 모르는것 같다. 나 역시 그러니까. 큰엄마, 작은엄마, 고모부.. 늘상 부르지만 그 분들의 이름은 정확히는 모른다. 아마 나도 그러지 않을까. 그렇게 조금씩 자신의 존재는 누군가의 관계로만 기억된다. 작은엄마는 참 인생이 기구했다. 작은아빠의 사고. 근무시간외라 산재처리도 안되고 오로지 작은엄마의 몫이 되었고, 그 후로 작은집은 불행의 연속이었다. 세미(작은엄마 딸)은 어느날 화재로 죽었고, 사고로 하반신 마비가 된 작은아빠는 술로 날을 보내다 돌아가셨고, 세욱(작은엄마 아들)은 점점 자신을 외딴섬에 고립시키고야 만다. 팍팍한 삶 속에서 작은엄마는 눈물 흘리는 것을 잊었다며 이제, 자신의 이름을 찾고 싶다는 항변. 참 마음을 짠하게 만든다. 아직 사회일을 해서인지 아직도 내 이름을 불러주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집에 들어가면 내 삶은 없어진다는 생각을 가끔한다. 오롯이 나만을 위한 시간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어쩌면 남자같기도 한 이름 쓰기 싫었다던 작은엄마의 외침은 이름을 버렸기에 너무 불행했노라 내 이름으로 내 삶을 살겠다는 말이 아닌가 싶기도 한다. 물론 앞으로도 아들이 있어 본인을 위해서만 살아가지 않겠지만 자신의 이름을 갖고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이끌기를 바래본다.
그리고 또 한편은 입양아인 노인이 조심히 들려주는 이야기 <압시드>
나는 수염고래를 좋아해요. 좋아하는 이유는 분명해요. 수염고래는 혼자 살지요. 번식기만 제외하고 말이예요. 절대 무리 지어 살지 않아요. 나는 그 점이 좋아요. 그러나 그렇게 혼자 있다가도 상처 입거나 아픈 동료를 발견하면 옆에서 지탱해주고 함께 있어주지요. 혼자 있을때와 같이 있어야 할 때를 잘 아는 고래지요.(본문 中, 173~174)
해외입양아인 압시드. 그가 들려주는 이야기중에서 이 고래이야기가 제일 눈에 띄었다. 이 이야기가 이 책의 모든 이들이 바라는 삶이 아닐까싶다. 어디에 속할지 몰라 혼란스럽지만 같이 있어야할 때 혼자이거나, 혼자여야하는데도 불구하고 같이 있어 외로운 것보다도 혼자 있을 때와 같이 있어야 할때를 하는 그런 수염고래같은 사람들이 그들이 원하는 그리고 내가 원하는 삶 같다는 생각을 했다. 다소 무거운 이야기의 책이지만 그리고 단편에 매우 약한 나였지만 사색을 즐기기에 충분한 책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