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에서 보낸 하루 라임 틴틴 스쿨 11
김향금 지음 / 라임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경성.. 의문이 들었다. 한성, 한양, 경성.. 언제부터 서울을 경성으로 불렀나라는 의문... 서울을 한자로 표현하면 경()이다. 중국의 북경(), 일본의 동경()은 각각 해당국의 서울이란 뜻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한자 문화권의 공통점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이렇게 보면 경성이란 이름은 자연스런 수도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면 되는것 같다. 그러나 책을 읽어보면 경성이란 이름에 포함된 의미를 알수 있다. '한성부'는 조선 시대 서울의 공식적인 행정 명칭이다. 조선 시대 사람들은 수도를 한성이라고 불렀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한성부는 수도로서의 지위를 잃고 말았다. 한성은 경기도 소속으로 지위가 낮아져서 '경성부'로 불리게 된다.(생략) 경성에도 수도라는 뜻이 있어서, 조선 시대에 순 우리말인 '서울'의 한자 표기로서 경성이 사용되긴 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사용된 경성은 오로지 일제의 식민 도시를 가리키는 이름에 지나지 않았다.(p.233) 본문 내용을 살펴보면, 검색한 내용이 맞기도 하지만 또한 틀리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때의 경성은 지위가 격하된 명칭일 뿐이다.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라는 작품을 읽어보면 '게이죠'라고 서울을 부른다. 소설 자체가 우리가 해방을 맞지 않았다는 가정을 배경으로 삼기 때문에 서울을 그렇게 낯선 '게이죠'라고 불러서 참 거부감이 들었었는데, 이 책을 읽고보니 너무나도 당연한 거부감이었다.


누가보면 애국자처럼 보이겠지만 내가 일제강점기에 관심이 갖게 된건 아이가 커가면서 여러 박물관을 다니면서이다. 안중근 의사의 짧은 손가락도 고문에 의한 것으로 알정도로 나 또한 많이 무식했던 터였다. 그리고 당시 그 배경을 하고 있던 박경리의 <토지>나 조정래의 <아리랑>, 한수산의 <군함도>등을 읽으면서 마음이 너무나도 아팠다. "경성"이란 이름은 그래서 서울이라는 의미보다 아픈역사를 더 내포하고 있는것만 같다.


이 책은 모던보이를 쫓아가며 경성을 소개한다. 제일 눈의 띄는 것은 조선총독부 건물과 광화문이다. 경복궁의 정문이였던 광화문은 뜯겨져 자리를 이동했었고, 조선총독부는 정궁인 경복궁을 막고 있다. 어린시절 조선총독부 건물이 박물관이였었는데, 참 견고했던 건물이라 생각했었는데, 참으로 어리석었다. 다행이 조선총독부는 1995년 철거되었고, 광화문도 제자리를 찾아와 있다. 또한 현재도 일부 모습을 갖고 있는 서대문형무소는 당시 독립투사들을 가두고 고문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딸아이가 초등학생시절 간적이 있었는데, 매우 무서워 했다. 왜 저런 흉물스러운 건물을 아직도 보존하는거냐고 물었다. 아픈 역사도 우리의 일부이니 잊지말라는 뜻이 아니었겠냐는 이야기를 했던 것 같다.


이 책은 저자도 말했듯이 청소년과 함께 하는 여행기이듯, 청소년이 꼭 읽었으면 좋겠다. 일본을 통해 들어온 물건들도 있지만 그 시대 나라를 잃어버려서 겪었던 수모나 나라를 찾으려는 이들의 노력이 곳곳에 숨어있는 곳도 잊지 말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