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정신과 의사 유세풍 -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우수상 수상작
이은소 지음 / 새움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가끔 속이 답답할때가 있다. 예전엔 방황도 해봤지만.. 요즘은 그냥 속에 담아두기도 하고 나만의 방법으로 풀기도 하고 그러는수밖에..

그때 나를 잘 모르는 사람과 이야기라도 한다면 후련할까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는데, 여기 유세풍 의원같은 사람만 있으면 좋치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 소설은 참 유쾌하다. 유쾌한 것에 한몫하는 것은 아마도 계지한 의원일터다. 참 매력적인 캐릭터의 의원인것 같다. 침의로 촉망받던 유세엽은 왕의 시침을 잘못해서 출혈이 한동안 멎지 않았나 마음이 쓰였다. 결국 왕께선 승하하셨고, 세엽의 아버지는 너의 잘못이 아니라 했지만 세엽은 도성을 떠나게되었다. 그 일로 세엽은 침을 놓치 못하게 되었다. 결국은 그에게도 마음의 짐이 생겼다. 1년을 방황한후 소락 계의원에게 가서 심의로 활동하게 된다.


현종때를 배경으로 하는것 같은데, 유쾌함과 동시에 좀 깊이 생각해볼 문제가 그 당시 남성과 여성을 바라보는 극명한 시선이다. 세엽을 자꾸만 풍이라 부르는 치매 할머니 덕에 세풍이가 되어버렸긴 했지만 그 할머니에겐 호란때 포로로 끌려갔다가 돌아온 환향녀라는 아픈 기억이 있다. 잘못은 사대부들이 저질러놓고 애써 고향으로 돌아온 이들에게 모질게만 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아마도 할머니는 응어리가 졌을 테다. 또한 혼인한 다음날 병약했던 남편이 죽자 남편잡아먹었다며 구박을 당해 세상을 포기하려던 은우. 왜 그렇게 유독 여성에게만 가혹한 세상이었을까.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사연들로 인해 마음의 병을 얻은 병자들은 은우와 세풍은 그들의 마음의 소리를 들으며 치료를 하게된다. 여기 나오는 인물 하나하나가 사연이 많다. 특히나 계의원댁에 모여사는 사람들에게도 사연은 있지만 그들은 참 유쾌하게 산다. 아마도 계의원의 탁월한 의술(?)덕에 자신들의 재능을 펼치기 때문이 아닐까.


불행을 겪어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래, 맞다. 불행을 겪어야 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상황이 안좋아서, 다만 다른 이의 핍박으로 인해서, 다만 내맘대로 되지 않는 세상살이에 지쳐서..

요즘 같은 세상 근심있고 힘든 세상에 이런 유쾌한 소설로 잠시나마 행복해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