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시원 기담
전건우 지음 / CABINET(캐비넷) / 2018년 8월
평점 :
맛있는 간식거리와 함께 독서를...
아마 표지에 여인은 303호의 '홍'인것 같다. 그리고 문을 통해 밖을 살피는 검은 고양이는 '권'이겠지.
고문고시원의 내력을 설명하는 '나'와 '총무', 그 앞에 앉아 나도 이 고시원의 역사를 듣고 있다. 조금 읽어나가다가 누군가 '내'방문을 두르리고 있는데, 슬며시 웃으며 총무형과 함께 방을 떠났다.라는 문장을 보면서 유령이구나를 직감했다. 그 생각을 확고히 한 채 이 이야기를 읽어나갔다. 그런데,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시점에와서는 워낙 오래된 고시원이다 보니 고양이 두마리가(스포일라나) 슬며시 들키지 않고 떠났을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가급적이면 글을 읽고 독후감(서평이라 하기엔 좀 부끄럽다)을 쓰려고 노력하는데, 이런면에서 좋다. 그냥 책을 덮는것 말고 한번 더 생각을 할수 있어서 말이다. 전문서적이 아니더라도 책을 읽게 되면 무언가 교훈이 될만한 것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시원. 한번도 가본적이 없다. 그저.. 내가 본 고시원은 드라마에서 나오는 그런 고시원밖에는 없다. 드라마속 고시원은 좀 넓긴하던데, 이 책표지에서 보이는 고시원이 실제와 같지 않을까 싶다. 더군다나 이 자리에는 예전에는 꽤 잘나가는 식당이었지만 불이났고, 사람들이 많이 죽었고, 그 위에 나이트클럽이 생겼으나 오픈한지 한시간만에 불이 났고, 다시 그 자리에 고시원이 자리잡게 되었다. 극한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 한달 3만원이라는 돈으로 창문이 있느냐 없느냐라는 또다른 빈부가 결정되는 곳. 방음도 안되는 벽사이에서 모든 것이 노출되지만 서로에게 아는척도 하지 않으면서 이웃이 있으나 이웃이 없는듯 유령처럼 살아가는 이들의 이야기.
난 이소설을 높은 자리에 앉아 나랏일 하시는 분들이 읽었으면 한다. 삼각김밥이 뭔지도 어떻게 뜯어 먹는지도 모르고, 버스값, 지하철 값이 얼마인지도 모르는, 하늘까지 닿겠다며 여기저기 쌓아올리는 아파트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집한칸이 없어서 고시원으로 내몰리는 사람들. 이런 취업난에 기를 쓰고 낙타가 바늘귀 통과하는 것처럼 힘든 공무원이 되겠다고 어두컴컴한 작은 방에서 수험서 책을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넘기며 공부하고 있을 가련한 청년들. 아무리 노력해도 취업은 낙하산 타고 내려오는 것들한테 밀리고, 적막한 황무지가 되어가는 곳으로 내몰리기만 하는데, 옥탑방에서 기껏 한달살이 하시곤 선풍기나 주고 받으시는 분들께선 과연 국민들의 비참한 삶을 아시기나 할까. 멋드러진 관사가 아니라 나랏녹을 드시는 고위 관계자분들 이런 고문고시원에 방한칸씩 나눠드리고 민생을 살피라고 하고 싶다.
시련이 닥쳐왔어도 고시원 사람들을 서로돕고 또 돕는다. 그들 모습이 우리네 모습같다. 위급한 상황에 빛나는 이름모를 많은 무명씨들 덕분에 그래도 우리는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싶다. 고문고시원에 살아가는 우리자신들에게 격려하고 싶다. 어느날 갑자기 고문고시원을 나서게 된다해도 그곳을 잊지 말고 살아가라 하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