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 거의 모든 것의 속도
밥 버먼 지음, 김종명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자연은 결코 멈추지 않는다. 맞다. 더불어 나도 멈추지 않고 나이 먹고 있으니 말이다.

이 책에서는 여러가지 현상의 속도를 이야기한다. 거대한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에서부터 우리 주변의 자연의 속도까지 말이다.


한가지 흥미로운 이야기는 빠르고 느린 것의 기준에 대한 이야기이다. 어떤 것이 빠르고, 또 어떤 정도의 속력이어야 느린 것일까?

지구상에서 가장 빨리 달렸던 남자, 우사인 볼트는 100m를 9.58초에 주파했다. 10.43m/s이다. 이 속도는 빠른 것일까? 우리가 느끼지는 못하지만 우리는 지구와 함께 자전(?)하고 있다. 지구가 약간 둥글어서 위도에 따라 회전속도가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적도에서는 1,670km/hr이다. 환산하면 464m/s이다. 밤하늘의 별들을 우사인 볼트보다 44배정도 빠르게 이동하며 바라보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우사인 볼트보다 우리가 더 빨리 움직인다는 것은 인지하지 못한다. 그럼 박테리아는 어떤가, 가장 박테리아는 1초 동안 인간의 머리카락 두께 정도를 이동한다고 한다. 이것은 분명 느리다. 하지만, 자신의 몸길이의 100배를 움직이는 것이라 한다.

도대체 빠르다와 느리다와의 기준은 무엇일까? 속도라 함은 절대적이라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봐야 맞는것 같다. 그리고 약간의 지식, 아니 "앎"이라고 표현해야 할까.. 적당한 용어는 떠오르지는 않지만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말처럼 '아는만큼 속도가 보인다'라고 해야할것만 같다. 요즘 수업하는 한팀의 아이들에게 우주에 대해서 가르치고 있다. 혜성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 왜 혜성은 느리냐고 묻는다. 이제 혜성에 대해서 배우는 아이들과 여러 책들과 뭐... 혜성을 접한 차이랄까. 참 빠르게 움직이고도 있는데 우주가 광활하다 보니 마치 정지해있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우주에 대해 조금만 더 알게된다면 속도뿐 아니라 많은 것을 알게 될것이다. 그러니 독서를 하고 연륜이 쌓여야 하는 것인가보다.


이 책은 그리 쉽지많은 않다. 그렇다고 그렇게 어렵지도 않다. 너무 전문적인 이야기가 아니라서 중고등시절 배운 과학이야기만 조금 상기한다면 어렵진 않다. 다만 과학에 흥미가 있느냐 없느냐가 책장을 넘기는 속도에 살짝 영향을 주는 것뿐이다. 예로 '푸코의 진자'라는 쳅터를 보고, 움베르트 에코의 <푸코의 진자>를 생각하느냐, 아니면 지구가 자전하는 결정적인 증거를 떠올리느냐의 차이랄까. 물론 나도 후자의 푸코의 진자를 생각하고 움베르트 에코의 책을 구입했다가 스타일이 전혀 맞지 않기에 읽는 속도가 거의 0m/s에 근접했다가 포기했기에 과연 그 책에 실제 푸코의 진자 실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지 아닌지는 잘은 모르겠지만서도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은 자신만의 속도로 움직인다. 그리고 각자의 기준은 항상 변한다. 어렸을때는 그렇게 어른이 되고 싶었지만 여전히 난 청소년이었는데, 지금은 속도가 너무나도 빠르다.


자연은 결코 멈추지 않는다. 그리고 나 또한 멈추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