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메르세데스 빌 호지스 3부작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킹의 첫 탐정 추리소설 [ 미스터 메르세데스 ]


영화 미저리, 쇼생크탈출의 원작자인 그의 첫 탐정 소설은 출간되자 마자 많은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고 주간 베스트셀러에 자리하고 있다. 나도 그 입소문을 타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을 통해서 나는 스티븐 킹이라는 사람을 처음 알게되었다. 사실 나는 그 유명하다는(누구나가 다 안다는 작품들) 미저리나 쇼생크탈출을 본적이 없다. 타이틀만 알뿐, 그래서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고 읽었는데 이런 상황이 은근 반전을 불러왔다.


대략 600장에 달하는 [미스터 메르세데스]를 읽는 속도는 일본소설을 읽는 시간의 3배정도를 들여야 했다. (나의 기준) 읽는 도중 힘에 붙이면 마스다미리의 에세이를 읽으면서 무겁고 진지한 사건을 잠시 잃을려고 했다. 그 덕분에 지치지 않고, 싫증내지 않으며 완독할 수 있었다.


스티븐 킹의 첫 탐정, 빌 호지스는 경찰 생활 40년을 뒤로하고 이제 막 퇴직한 경찰이다. 한마디로 전직경찰. 매일 현장에 나가 발로 이리뛰고 저리뛰던 그가 무료하게 tv를 시청하며 등장한다. tv프로그램을 보는게 싫은건 아니지만 좋아서 시청하는것도 아니다. 그저 할게 없어서, 무료함을 달래줄 유일한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그런 그에게 어느날 의문의 편지가 도착한다. 바로 채용박람회에서 무참히 사람을 밟아죽인 메르세데스 살인마로 부터. 자신을 잡지 못한채로 퇴직한 호지스를 마치 무능하기 때문에 자신을 잡지 못한 머저리로 취급하면서 그를 실컷 조롱한 메르세데스 살인마, 그의 편지를 받은 호지스는 당황했다. 하지만 그 다음 감정은 무능한 자신을 비관한 나머지 우울증에 빠지는 대신 왠지 모를 불타는 감정을 느꼈다. 그리고 두근거렸다. 현직에서 퇴직했지만 아직의 그는 경찰의 모습을 버리지 못했다. 사실 그는 무료해서 너무 무료해서 우울증에 빠질뻔했고 자살충동까지 느꼈다.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저버릴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매일 아버지의 유품인 총을 꺼내서 쓰담듬고는 했다. 그걸 이 살인마가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왠지 침착하게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전 파트너에게 연락을 취하기 전에 이 살인마가 왜 자신에게 편지를 보냈는지 그리고 자신은 어떻게 해야할지 생각에 또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무료한 나머지 우울증에 걸릴뻔한 그, 자살충동까지 느낀 그에게 어처구니 없게도 살인마가 삶의 희망을 안겨주었다. 퇴직한 전직경찰을 조롱하며 희열을 느끼고 싶었던 살인마의 계획은 어이없게도 다른 방향으로 흘러들어간다. 오로지 혼자만의 힘으로 사건을 해결하고 싶어하는 호지스.


주로 내가 읽은 추리소설 속 탐정들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착착 내고, 트릭을 쉽게 풀는 천재성을 가진 조금은 독특한 인물이었다. 그런데 이번에 만난 전직경찰이자 어쩔수 없이 사립탐정을 자칭하는 호지스는 연륜이 물씬 느껴지는 인물이다. 개성있는 캐릭터는 아니지만 그런 그가 주인공이기 때문에 어리지만 말빨이 좋고 이해력이 좋은 똑똑한 흑인소녀 제롬과 매력만점의 톡톡튀는 중년부인 제이니, 신경질적인 홀리 그리고 이면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메르세데스 살인마까지 모두 소설 속에 잘 녹아들어 있었다.


요새 [크리미널 마인드] 시리즈를 챙겨보고 있다. 시즌1부터. 책을 읽으면서 마치 크리미널 마인드에 자주 등장하는 범인들의 형상이 메르세데스 살인마에게서 보였다. 그런 그를 호지스는 어떤 방법으로 체포할까 너무너무 궁금해서 이야기 막바지에 이르렸을때는 단숨에 읽어나갔다. 명탐정 코난 처럼 범인은 바로 너! 라며 멋있게 체포하는 씬을 기대했건만 나의 예상과는 다르게 흘러가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묘한 매력을 느꼈다. 예상못한 등장인물의 행동에 여럿 독자들도 처음에는 당황했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런 반전 이야기가 스티븐 킹의 또다른 소설을 읽게 만드는 요인이 아닐까 생각된다.


추리소설이기 때문에 상세한 줄거리는 피했지만 천천히 시간적 여유를 두고 음미하듯이 [미스터 메르세데스]를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