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바뀌면 자식이 산다
유순하 지음 / 문이당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부모가 자식의 성공을 바라질 않을까 우리 부모님세대뿐만 아니라 요새 젊은 부모들도 자식이 다른 애들보다 더 똑똑한사람이, 성공한 사람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학원이며 개인과외를 한다. 뿐만 아니라 즐거워야 할 독서도 수능의 한 수단으로 바뀌면서 책읽기를 두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아졌다. 책을 좋아하는 나로서 그러한 상황이 가장 마음 아프다.


유순하 작가는 "세아이 모두 명문 대학에 들어갔는데도 나는 왜 이 글을 써야 했는가?" 하고 자문했다. 그는 부모로써 실패했다고  말한다. 부모로써 좋은 아빠, 책임감 있는 가장으로써 노력하지 않았다면 그건 거짓말이다. 그는 (책 속의 단면적으로 본 그의 모습만을 본다면) 정말이지 좋은 아빠였다. 아니 좋은 아빠인듯 하다. 그런데 그는 실패했다고 한다. 그의 기준으로 본다면 자식과 부모로써의 유대감이 별로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인적인 이유를 들어 자신의 교육법은 실패했으니 많은 부모들은 그 처럼 실패하지 말기를 바라는 마음, 자식들에게 반성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그러니 자녀의 교육법에 대해, 내가 과연 부모로써 올바르게 행동하고 있는가를 고민하는 부모는 꼭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작가는 부모들이 자식을 망가뜨리는 것을 "독"이라 부르면서 3가지로 나누었다. 과보호, 잔소리, 체벌, 그리고 그 결과. 그는 부모의 잔소리, 과보호가 얼마나 자녀들을 엉망진창으로 빠트리는지 설명하고 자신의 가정을 예로 들었다. 또 자신의 가정안에서 벌어진 남들과는 다른 교육법을 예로 들면서 자녀들의 성공요인을 유추했다. 그 중에서 "방목"이 그의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 간 가장 큰 이유의 하나로 들었다.


그러고 보니 우리부모님도 우리를 거의 방목했다고 말할수 있다. 우리 부모님은 맞벌이었기에 우리는 탁아소(지금의 어린이집)에 맡겨져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보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중학교에 들어가서도 고등학교에 들어가서도 부모님은 졸업식 외에 학교에 찾아온적은 없었고 우리의 성적, 학우 관계에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다. 오히려 우리(동생과 나) 쪽에서 어머니께 붙어서 하루종일 있었던 일을 쫑알쫑알 일러바쳤다. 대학에 진학해서도 친구들과 놀고 늦게 들어가도 딱 한마디 잔소리 하시고는 심한 체벌과 억압은 찾아볼수 없었다. 부모님의 그런 모습에 오히려 내가 소심해져서 집에 일찍 들어가려고 노력했고 내 자신이 나를 억압하고 규칙적인 삶을 살도록 만들었다. 부모님들의 무신경이 오히려 도움이 되었다고 볼수있다. 그런데 학생이었을때는 무신경한 부모님의 모습이 서운했기도 했다. 지금 돌이켜보면 무신경한 부모님의 교육법때문에 지금의 나와 동생이 있는거라 생각한다.


작가는 부모의 교육중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말, 그리고 기다리이라고 이야기했다(이건 개인적인 생각) 가정뿐에서만 아니라 사회생활, 학우관계에서도 "말"은 정말이지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우리가 조심해서 다뤄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말"의 중요함은 잘 알고있지만 실천이 잘 되지 않는 부분이라 읽는 내내 여러모로 반성되는 부분이었다.


작가는 부모의 믿음과 기다림이 자녀의 자립성에 큰 도움이 될거라 이야기하면서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일침을 놓았다. 부모들의 열성이 자녀들의 자립성을 키우는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부모들이 바라는 좋은대학은 커녕 어른으로써 성장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언젠가 부모가 되는 나에게 나는 자녀들에게 어떤 교육을 해야할지 고민에 또 고민하면서 책을 넘기는 나였다.


앞에 말했듯이 작가는 자녀와의 유대감, 정서적 거리를 점차 생겨나면서 자신은 실패한 부모, 실패한 아버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나는 남들과 다른 교육방침, 확고한 신념으로 자녀들을 보살핀 그들 부부의 모습을 보면서 나도 남편과 언젠가는 자녀들에게 믿음을 주고 공부에 열올리지 않는 부모가 되고싶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이 잘될까 한켠으로는 걱정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