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풍론도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권남희 옮김 / 박하 / 201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 본인 스스로도 "이렇게 재미있게 만들어질줄은 몰랐다"라고 말할 정도로 자신감 내비치는 작품 질.풍.론.도

 

  개인적으로 히가시노 게이고의 열렬팬이라고 자부했던 나는,, 요새 그의 소설에 질려버렸다. 가가시리즈와 갈릴레오를 빼고는 그 외 단편은 이제 진부하다고 느끼고 있던 참이다. 그런데 그때 작가 스스로 작품에 대한 애정을 듬뿍 담은 멘트를 뿌린 이 책이 궁금해졌다.

 

   계절감 있게 겨울에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그래서 책 홍보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싶다. 케익 위의 맛있는 딸기는 나중에 먹는 취향을 가진 나는 독서또한 그렇게 한다. 재미있는 책을 아껴서 아껴서 나중에 읽는다. 처음 가진 그 기대감에 책의 맛이 떨어질 것 같아서이다.

 

  질풍론도는 일본의 한 연구소에서 개발된 생물학무기를 둘러싼 추리소설이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큰 장점은 우리의 일상안에서 소소하게 벌어지는 사건, 아니 조그마한 화두거리를 재료로 다양한 시각과 컨셉으로 재미있는 책을 만들어내는 인물이다. 이 책 또한 큰 무대, 비장한 등장인물을 멀리하고 우리 일상안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인물들을 내세워 이야기하고 있다.

 

  K-55라는 생물학무기를 개발한 구즈하라는 표면상 휴직으로 해고를 당하게 된다. 해고에 대한 부당함을 돈으로 받기 원하는 그는 남몰래 연구소에 침입해 자신이 개발한 K-55를 훔쳐내어 어느 설산에 묻고 연구소로 협박메일을 보낸다. 단순히 돈을 받고 끝내려고 했던 구즈하라는 어처구니없게도 교통사고를 당하고 결국 죽게 된다. 그리고 연구소장 도마와 부하직원 구리바야시는 설산에 묻힘 생물학무기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어처구니 없게도 범인이 죽다니,, 책을 읽는 도중 맥이 확 끊겼다. 치열한 두뇌싸움과 긴박한 상황이 조성될줄 알았는데,, 범임의 죽음을 시작으로 보물찾기가 되어버렸다. 등장인물들의 설산의 위치, 생물학무기가 묻힌 장소 를 찾는 추리는 계속되어지지만 그런것들은 나에게 큰 흥미요소가 아니었다

 

  결론이 뻔히 보인 이 책을 읽고 싶어했던 나에게 조금 실망한 감은 없지 않았지만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를 떠나 연구직원 구리바야시와 그 아들의 이야기가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다. 항상 공부를 강요하고 자신에게 관심이 없는 듯해 보이는 아버지, 스노보드를 좋아하는 자신을 나무라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와 일관계로 스키장에 가고 같이 식사도 하고 서로에 대해 하나 둘씩 알게 되어가는 부자들만의 이야기,,

 

  대부분 철없고 무심하고 생각이 깊지 못하는 남성네들의 부자이야기는 질풍론도의 중요한 요소이다. 돌이켜보면 억지스러움이 없어도 너무 없어 오히려 무미건조하다고 느껴지는 추리소설인데도 따뜻함을 안고 있는 책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긴박함과 써늘함 통쾌함은 뒤로하고 이 추운 겨울날(지금은 완연히 따뜻한 봄이지만) 마음이 뿌듯해지는 책을 만난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