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유령인명구조대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박재현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작년 크리스마스엔 그 흔치 않던 눈이 내렸다.
거기에, 겨울이 추우면 다음해 농사가 풍작을 이룬다하는데
너무 추운날이 많아 다가올 계절들은 과연 어떠할지
풍작을 부르는 추위라도 벌써부터 조금은 두려웠다.

책 '유령 인명구조대'의 겉표지는 눈을 닮은 듯 하얗다.
이런 책표지를 보니 새삼 겨울에 더 맞는 책이란 생각도 문득 들 정도로.
'유령'이란 제목속 단어가 주는 다소 오싹한 느낌보단
'인명구조대'란 또다른 단어가 주는 따스함이 더 어울리는 책인데
벌써 이 책을 구하기가 쉽지 않아졌다.

이 책속 유령 인명구조대는 총 4명이다.
유이치, 이치카와, 야기, 미하루...

이들은 각기 살았던 시대는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자살로 유령이 됐다는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
하늘은 이 4명의 유령들을 다시 이승의 공간속으로 내려보내
자신들과 같은 길을 걸을지 모를
예비 자살자들을 막으라는 임무를 맡긴다.
주어진 기간내에 100명의 자살을 막고 그들이 재차 자살기도를 하지않고
새삶을 시작해보도록 만드는 것이 아무리 소설속 그들의 임무라지만
읽는 내내 나 스스로가 살어름을 걷는 듯 조바심을 느끼며 읽고 있었다.
극단적인 생각을 가진 100명의 생각을 바꾸는 일이라니...
보람있는 임무건만 그들이 해결지어야 할 일의 무게가 글로 전달되는 듯 했다.

이 책의 작가 '다카노 가즈아키'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성공한 일본 추리소설 중 하나인 '13계단'의 작가이다.
그의 작품을 읽고 또 다른 작품까지 읽고 싶어져
나처럼 몇 안되는 그의 작품가운데 하나인
이 색다른 '유령 인명구조대'까지 이른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왜 그런지 이 책에 대해선 13계단에 보냈던 찬사에 비해
실망을 표현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이 보였다.

틀릴수도 있겠으나 내가 나름 그 이유를 추측해 보자면
우울하면서도 서스펜스가 흐르던 '13계단'이 어덜트적인 분위기였다면,
미스테리 형식이 아닌 독특한 영화적 상상같은 임무를 해결해가는
이 '유령 인명구조대'의 스토리에선 어린이같은 천진함이나
유아적 상상력과 비슷한 분위기를 느끼고 13계단과 비슷한 느낌을 받고자 했던
그 기대가 실망으로 바뀐 케이스는 아닐까하는 짐작만 조심스레 해볼 뿐이다.

그럼에도 난 이 책의 따스한 정서가 무척이나 맘에 들었다.
오히려 13계단이 준 재미보다 이 책이 담은 메세지가 더 좋기까지 했었다.
100명의 목숨을 구하는 일이 뒤로 갈수록
제한된 소설 속 줄거리 안에서 간단히 생략되어 갔음에도
작가 '다카노 가즈야키'의 세상을 바라보는 개인적 시선을 녹아내본 듯 한
이 소설속 4명의 유령들이 보인 활약상이 무척이나 값져 보이고 대견했었다.

그 훈훈함에 못지않은 재미 또한 책 속 스토리에 모두 있었다고 보는데
왠일인지 이 책은 흥행하지 못한 비운의 명작같은 처지가 되어버리고만 듯 하다.

책의 느낌을 옮기다보니 100명의 목숨을 구해내는 임무를 모두 마친
그들의 뒷 이야기까지 마저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 진다.
그저 마지막 스토리의 비밀마저 발설하고 싶은 마음에서는 아닌,
그들 4명의 활약상 소개를 마무리져 알려주고픈 치기어린 마음이라고 해두련다.

같은 시간속엔 힘든 사람과 즐거운 사람도,
후회하고 있는 사람과 후회마저도 할 수 없는 사람도 함께 뒤섞여
이 세상이 정교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

'유령 인명구조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추 CEO - 상추로 매출 100억을 일군 유기농 업계의 신화 장안농장 이야기 CEO 농부 시리즈
류근모 지음 / 지식공간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디선가 이 책의 리뷰를 간단하게나마 먼저 봐 버렸다.
내용은 5점만점에 3점정도를 줄 책이란 소개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사실, 흔히 이용되는 책에 매기는 이런 별점들을 마주칠 때
만점이 아닌 이 정도의 점수만을 보게되면
읽는 사람따라 호불호가 갈릴 책이란 생각이 쉽게 들고
결국 읽으려 잘 사게 되진 않는듯 하다.
그러나 그랬을뻔한 이 책이 나완 인연이 다아
이렇게 직접 읽어보고 평가할 기회가 생겼으니
작은 일이지만 사람일은 참 알 수 없는 듯 여겨진다..

내용은 제목에서 미뤄 짐작되는 것처럼
상추농사로 성공한 '류근모'란 CEO의 이야기다.  
문체도 대필이 아닌 본인이 직접 썼는지
매끄럽기 보단 일반인다운 분위기가 강했고,
혹 대필작가가 이런 면까지 감안한 집필이었다면
대단하다 생각되기도 한데 그렇진 않으리라.

가장 중요한 다 읽은 후의 느낌...
너무 좋은 내용, 진실함, 논픽션만이 줄 수 있는
모든 장점이 담겨있는 한권의 평범하면서 특별한 책이었다.
주변의 성공이야기 중 하나일 수 있을 그의 지난 얘기들은
힘들던 옛일을 되뇌이며 흐뭇해하는 자기만족의 느낌은 아니다.
그냥 현실...그랬다.
과거는 이랬고 현실은 이러하며 미래는 아마도 이러하리라는...

유기농 상추 기르는 기술을 배우고
거름으로 쓰일 소똥도 자신의 농사를 위해 직접 사육해
진정한 리사이클링식 유기농을 완성했던 얘기며,
규모가 커진 농사와 딸린 직원들을 위해
고민하고 새로운 부의 창출도 꽤하는 모습등
상추CEO란 그의 많은 얘기가 들어있다.
거기에 귀촌을 꿈꾸는 이들을 위해
그 꿈의 싹을 현실적으로 한풀 꺾어놓는 듯도 싶은
너무도 진실한 농사와 농사꾼의 얘기도 들을수 있다.

모든 성공한 이들의 현재모습엔
그의 치열했던 과거가 녹아있는 것임을 머리로는 알지만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생활의 달인이란 TV프로처럼
평범하지만 몰랐던 위대한 이웃들의 노력도 다시금 느껴봤다.

활력이 넘치는 새벽시장 같은 느낌...

난 100억대의 성공한 농사꾼을 본 게 아니라
가진게 많으면서도 아직까지 누리려고 하기 보다는
누구보다 더 노력하며 살고있는
아버지같고, 닮고 싶어지는 한 중년남자를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우스 브로드 1
팻 콘로이 지음, 안진환 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한마디로 설명하기 힘든 이 느낌...뭐라 해야할까?

싱클레어가 데미안을 만나고 피스토리우스를 만나는 성장소설을 읽듯,
레오가 찰스턴에서 소소하고 특별한 일들을 겪으며 사는 모습은
비슷한 여러가지를 연상시키며 낮설지 않은 분위기를 느끼게 해 주었다.
예전에 본 영화들의 분위기도 떠오른다.
'캐쉬백'이나 '매그놀리아'의 독특한 의미와 영상같은 것들.

나름 좋은 소설들을 꼽는 조건이라면
읽으며 일부러 그리지 않아도 절로 글이 영상으로 옮겨지는
그런 소설을 잘 써진 소설이라 생각하게 되는데,
이 '사우스 브로드'가 여기에 부합되는 수작의 느낌을 주었다.
적어도 내가 읽으나마나한 책에 시간낭비하고 있다는 걱정은 필요없을.

이 책은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뜬다'던가
'사노라면'의 노래가사같은 희망을 던지지 않는다.
삶이란 거대한 존재를 비극과 희극이란 2분법적으로 단정짓는 대신
이런 사고가 가진 기쁨과 희망의 부질없음을 긴 호흡으로 보여준다.

삶의 희비란 순간순간 교차되는게 아닌 뒤섞여있는 것임을,
어느 하나 끝나고 마는게 아닌
뫼비우스의 띠처럼 무한연속성을 띄고 있기에
누구나가 겪어나가야 하는 것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비관론자이거나 염세주의자인가? 그렇지 않다.
도리어 적절한 인생의 기쁨과 실망을 버무려놓는 그 필력이
바로 작가 '팻 콘로이'의 힘으로 여겨질 뿐이다.
후반부 정신병원에서 보이는 레오의 대화나 환상이
이런 응축된 메세지를 담고 있는 가벼운 장면은 아닌가도 싶다.

이 책을 읽고나서 왠지 힘을 많이 얻었다.
가상의 세계에서 현실을 살아갈 에너지를 충전받는 느낌...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인다는 진정한 뜻도 다시 새겨보며 말이다.

팻 콘로이의 '사우스 브로드'엔 재미와 메세지 2가지가 모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