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 공부법, 하브루타 - 유대인 아버지들이 수천 년간 실행해온 자녀교육의 비밀
전성수.양동일 지음 / 라이온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읽었던 어떤 육아서에서 한국인들은 아이들에게 "오늘 학교에서 무엇을 배웠니?"라고 물어보지만

유대인들은 "오늘 학교에서 무엇을 질문했니?"라고 물어본단다.

그 말이 아주 인상깊어서 유치원에서 돌아오는 아들에게 매일밤 질문한다.

 

"아들, 오늘 유치원에서 선생님한테 질문한 거 있니?"

"아니"

"오늘 했던 일이나 배웠던 거 중에 궁금한 게 하나도 없었어?"

"응"

 

아직 7살이니 그럴수도 있는걸까?

이 질문한지 2달 되어가는데 아직까지 한번도 대답을 들은 적은 없다.

 

 

 

하버드 입학 시험에 나왔던 문제보다 아버지와 밥상머리에서 했던 토론 문제가 더 어려워 한 유대인의 이야기.

유대인의 교육에서는 아버지가 빠질 수 없었고 또 하브루타를 뺄 수 없다.

하브루타는 원래 토른을 함께하느 짝이나 친구, 파트너 친구룰 일컫는 말이었던 것이

짝을 지어 질문하고 토론하는 교육방법을 말한다.

유대인들은 그만큼 교육에서 토론을 강조해왔다.

그런데 이 하브루타를 유대인들은 집에서 매일매일 한단다.

그것도 아버지와 밥먹는 자리에서..

어릴 적부터 강의만 듣고 자라는 우리내와는 다른 모습이다.

 

 

지식을 알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와 대화를 통해 밖으로 표출해보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들어서 아는 지식보다 직접해보는 것과 입밖으로 스스로 내보이며 하는 공부는 천지 차이다.

 

언제부턴가 학교에서는 수행평가를 토론으로 한단다.

그런데 그건 아이들에게 먹는 법만 가르쳐놓고 이제는 고기를 잡아오라는 식이 아닐까 한다.

단지 그 순간의 점수를 위해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아마도 다니던 학원 사교육 선생님들의 준비된 자료정도 연구하는 게 아닐까 싶다.

매일매일 학교에서도 행해지는 하브루타를 위해 전날 밤 미리 복습을 해가야 한다는 유대인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이 책에는 하브루타의 중요성과 집에서 쉽게 해볼 수있는 하브루타의 예가 설명되어 있다.

또 아버지가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준다.

<그렇지만 수천년동안 가부장적이었고 일에만 집중해왔던 아버지들이 쉽게 바뀌어줄지는 의문이다.>

사교육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특히 토론을 공부시키는 입장에서 크게 공감한 부분이 많아 유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