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희 대기자의 글맛 나는 글쓰기
양선희 지음 / 독서일가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학은 고등학교때까지

영어는 직장에 들어갈 때 까지

글쓰기는 평생동안 필요하다 하는 말이 있다.

평생을 살면서 꼭 필요한 글쓰기를 학창시절, 젊은 시절에는

뒷전으로 미루어 놓았다. 하지만 삶의 한 가운데 있는 지금,

글쓰기 만큼 잘하고 싶은 것이 없다.

이 책은 글쓰기의 기본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을

큰 숲을보듯 개념뿐아니라 문법적인 요소까지 꼼꼼히 짚어주고 있다.

사실 책이 비교적 얇은 편이라 가볍게 볼 수있겠다 싶었다.

예문으로 나온 문장들을 입으로 리듬감을 살려 직접 읽었으며,

내 문장에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생각해보느라

읽는데 시간이 꽤 걸렸다.

기본적으로 글쓰기는 남을 위한 행위이다.

독자가 부드럽게 끝까지 읽어내려갈수 있게 리듬감을 살리고,

독자가 편안히 숨 쉬며 글을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문장의 호흡을

고려해야 한다.

문장의 길이에 대한 생각을 해 본적이 별로 없었다.

감성을 토로하는 문장들이 좀 더 길고, 감성을 고조시켜야 하거나

매세지를 던지는 대목에선 짧은 문장으로 잇는다고 한다.

문장의 길이로 감성과 이성을 조절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리듬과 호흡외에 문법에 대한 부분도 유의할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해 주었다. 우리말에는 보통 주어를 종종 생략하기 때문에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중요하다. 그래서 주어에 대한 나름의 계획을 의식으로 가지고 글을

쓰는 것이 좋다. 둘째는 우리말에 있는 조사의 이해이다. 한글에서

가장 어렵고도 미묘한 부분이 조사라고 하는데, 같은 글에서

조사만 바꾸어도 글의 미묘한 어감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조사중에서 ~에 대해/ ~에 관하여 / ~를 통해

위의 이런 조사들은 적재적소에 쓰지 않으면 거창해 보이려는

뉘앙스를 주거나 허풍스러운 경향을 띄니 쓰임에 주의 하야 겠다.

조사는 앞단어와 함께 꼭 붙여 써야 하는데 조사인지 모르고

띄어쓰기를 하는 단어들도 예문과 함께 소개되어 있다.

우리가 자주 말과 글을 통해 사용하고 있으나 자주 그 쓰임을 틀리는

것들이 있다. 유명세, 구설과 구설수, 옥에티, 장본인이 대표적이 예이며

고사성어도 꼭 찾아서 바르게 쓰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글쓰기에 관한 책이지만 독서의 전략부분에 대한 작가의 생각과

제안에 크게 공감한다. 다독만이 능사라고 생각했던 나에게

생각할 부분을 주었다.


독서는 양에 비례해 저절로 생각을 키워주지 않는다.

책의 질에 비례해 나를 성장시키는것도 아니다.

나 스스로가 나의 성장에 독서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결정적이다.

-중략-

모든 것은 책이 아니라 '나' 에게서 비롯된다.



마지막으로 문장력의 비밀에 아래 3가지를 제시하였다.




사람들마다 독서의 목적이 다르겠지만,

학창시절을 제외하면 문학책을 읽은 기억이 별로 없다.

아마도 나에게 직접 도움이되는 실용서나 TV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된

인문학책 위주로 책을 읽었다. 하지만 작가는 공감력을 기르기위해

소설책을 읽을것을 제안한다. 소설을 실은 글쓰기에서 가장중요한 장르임을

강조했다.

마지막 모방의 전략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인 베껴쓰기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특히 초중고 학창시절에는 논리를 만들고 판단의 근거가되는

자료들을 쌓아두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 방법중에 제일이

암기라고 한다. 요즘에는 창의력을 키운다고 암기에 대한

효과를 저평가하는 분위기에 작가의 주장에 나또한 크게

동감한다.

글쓰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뿐 아니라

아이들 독서지도에 고민이 있는 학부모에게 적극 추천한다,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