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지 않고 살 수 있다 - 복잡한 세상을 꿰뚫는 수학적 사고의 힘
박병하 지음 / 생각정원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읽은 책중에 가장 인상에 남는 책이 <팩트풀니스>였습니다.<팩트풀니스>가 우리가 세상을 오해해는 이유에 관한 설명이라면<속지않고 살수 있다>는 그 오해 때문에 왜곡된 생각을 수학의 힘으로 이성적 판단을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는 책 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수학과 그닥 친하지 않은 사람이라,

처음에는 읽기를 망설였지만

-소개팅을 몇번이나 해야 내 짝을 만날 수 있을까?

-내가 산 로또는 왜 맨날 꽝 인걸까?

이런 소제목들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할인률등을 나타내는 퍼센트(%)에 우리가 얼마나 잘 속고 있는지알려주고 있습니다. 기자들이 주가를 다룰때 평소에는 3%가 올랐다고 쓰다가 폭락시에는 3조원이 증발했다고 쓴다고 합니다. 같은 기준이 아닌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해 쓰는것에 유의해야 합니다.고용률이 10%나 떨어졌는데 취업자 수는 10만명 증가 했다고 발표하는 정부 또한 %를 활용해 속임수의 지렛대를 쓰는 경우이니유의해서 살펴보아야 합니다.

케플러의 소개팅 에피소드는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케플러가 재혼을 할때 11번의 소개팅중 몇번을 해야 가장

적합한 상대를 만나는가 수학적으로 계산을 해보았다고 합니다.케플러가 일상의 문제를 수학으로 가져가는 귀재였다고 하는데이런 맞선문제까지 가져간줄은 몰랐어요. 결혼적으로는 37% (최적중지전략) 부근에서 최선의 결과치를 얻을 확률이 있으니 100명의 사람을 만난다면 37명을 지나면서 부터는 아주 유의 깊게 보고 선택을 해야 한다는 말이겠죠. 케플러도 실제 결혼은 5번째 만난 여인과 했다고 하는데

11명을모두 만나고 다시 돌아가 만나 결혼을 했다고 하네요.

확률은 확률일 뿐 절대적인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어떤 결정을 해야 할때 37% 이숫자를 기억해 놓은것은 좋을것 같습니다.



착시현상은 이제 성인이라 알만큼 다 알면서도 자꾸 속게되는것 같아요.어느 박물관에 놀러갔을때 그곳에 착시현상을 이용한 체험관을 보았습니다.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신비라고 재미있는 경험이였습니다.이런 착각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저자는 수와 친해기를 권합니다.쉬운일은 아니지만 일단 수와 친해지면 착각하기 쉬운 우리의 감각 바깥에

강력한 이성의 언어를 하나 갖게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수와 친해질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을것 같아요



<책, 읽어주다>하는 프로그램을 즐겨봅니다.

지난주에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소개하면서 원근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마사초의 '성 삼위일체'그림을 소개해 줬습니다.처음 원근법을 본 사람들은 큰 충격이였고 그림뒤에 진짜 공간이 있는줄 알아 손을 뻗어보려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본 책에서도 그 시절 원근법을 아래의 비례로 소개해주니 감이 확 옵니다.

원근법그림: 당대인의 충격=3D영화 : 현대인의 충격

비례법을 적용한 문장은 자칫 과장되기 쉽기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저자는 말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에 대입한 아래의 답을 한번 구해보세요

그 답이 아주 흥미롭니다

(.... 다음에 블럭을 지정하면 답을 볼수 있어요)

돼지는 꿀꿀, 고양이는?...... 야옹

돼지는 꿀꿀, 여자는?....... 자기야

육지에는 바다, 호랑이에는? ..... 상어

좋은것 vs 나쁜것, 믿음 vs ....... 편견

좋은것 vs 나쁜것, 인생 vs ....... 따분한존재

본 도서는 출판사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