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션 - 어느 괴짜 과학자의 화성판 어드벤처 생존기
앤디 위어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에 원작이 있을 경우, 무조건 원작을 먼저 읽는다는 주의다. 책을 읽을 때는 내가 상상하는 모든 것들이 반영되어 나 자신만의 비주얼과 이미지를 떠올리며 즐길 수가 있는데 영화를 먼저 보고 나면 그 이미지가 고착화되어 원작은 그냥 텍스트의 나열에 불과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책이라는 것을 스크린으로 옮긴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은 아니다. 시각화하는 과정의 문제는 둘째 치더라도 분량의 문제도 있고 제한된 상영시간 내에서 흐름을 잃지 않고 스토리를 무리 없이 풀어나가는 것도 문제다. 지금까지의 경험을 떠올려보면 원작을 잘 살린 영화는 무척 드물었다.
오랜세월 고수해 온 내 원칙(?)에도 불구하고 [마션]의 경우 영화를 먼저 봤다. 우려와 달리 영화는 그 자체로 최고였다(리들리 스콧 감독님, 부디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시기를...) 이런 경우 원작은 스킵 하는 편이 나은데, 책도 괜찮다는 얘기를 들어서 안 볼 수가 없었다. 그런데 웬걸, 책도 좋다. SF라는 장르 특성상, 모르는 용어와 장비, 설명들이 잔뜩 나오는데 영화에서 해당 부분들을 눈으로 확인한 후라 이해가 잘 되어 몰입이 더 쉬웠다. 친숙하지 않은 장르인 경우엔 잘 만든 영화가 원작의 이해도를 높여주나 보다. 물론 책을 읽고 이것저것 잔뜩 상상하고 궁금해하다가 영화를 보고, 그 후에 다시 한번 책을 들춰봐도 좋았을 것이다.
로빈슨 크루소도 그렇고, 마크 와트니도 그렇고 일단 살려고 하면 긍정적인 자세로 쉼 없이 움직여야 하나보다. 긍정적인 자세는 살아남기 위해 해야할 일들을 살필 수 있는 힘을 주고, 해야 할 일들을 하며 버티는 시간이 우울과 비탄에 빠져 자포자기하는 것을 막아준다. 비현실적일 정도로 낙천적이고 유쾌한 마크는 결국 살아돌아왔고 이 이야기가 허구임을 알면서도 나는 그의 귀환이 기쁘더라. 책이 쓰인 방식이 마크 자신의 기록과 지구와의 통신 내용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읽고 있는 나를 상관없는 남이 아닌 관계자처럼 느끼게 해주었다. 유치하다 할지언정 전 세계가 각자의 잇속을 따지지 않고 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 아낌없이 비용과 시간, 각종 노력을 쏟아붓는 과정이 기분 좋았다. 거기에 작가의 글발도 한몫했다. 텍스트로 쓰여진 책을 읽으면서도 영화를 보는 것처럼 신명 나는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감자를 키우던 때가 그립다. 감자밭이 사라진 후 막사는 완전히 다른 곳이 되었다.
흙은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 굳이 다시 내다 놓을 이유가 없었다. 나는 달리 할 일이 없어서 흙을 갖고 몇 가지 실험을 해보았다. 놀랍게도 박테리아 일부가 살아 있었다. 개체 수가 꽤 많은 데다 그 수가 점점 늘고 있다. 거의 진공에 가까운 대기와 극지방에 가까운 기온에 24시간 이상 노출되었던 점을 감안하면 꽤 감동적이다.
짐작건대, 일부 박테리아의 주위에 얼음주머니가 형성되면서 그 안에 생존을 가능케 할 만큼 압력이 들어찼을 것이고 기온도 죽을 만큼 낮이 않았을 것이다. 수십만 마리의 박테리아들 가운데 한 마리만 살아남아도 멸종을 면할 수 있다.
생(生)은 놀랍도록 끈질기다. 그들도 나만큼이나 죽고 싶지 않은 모양이다. - p. 366~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