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멸감 -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김찬호 지음, 유주환 작곡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모멸감에 대해 다루고 있다. 우리가 겪는 모멸감과 모멸감을 일으키는 이유 그리고 해결책을 다루었다. 가면 갈수록 모멸감을 불러일으키는 일은 많아졌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무력해졌다. 이러한 상황서 모멸감을 줄일 방법은 없을까?

우리는 모멸감을 겪을 상황을 많이 접한다. 상사의 말과 행동, 존중받지 못하는 자신, 가족의 툭하고 던지는 말들. 쓰지 않았지만 우리는 수많은 모멸감을 주기도 하고 당하기도 한다. 책은 모멸감의 종류를 비하 차별 조롱 무시 침해 동정 오해로 분류해 모멸감이 어떻게 사회에 존재하는지를 밝힌다. 그리고 한국의 신분 귀천강박 서열 공동체 민족주의를 분석함으로서 한국사회서의 모멸감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멸감을 사회가 이해할수 있게 모멸 감수성을 제시한다. 해결책으로 공동체의 부활과 차별이 없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마을 공동체나 가족의 건강한 부활 그리고 누구나 일하면서 모멸감을 느끼지 않게 자신의 행동 자각하기, 청결한 공간 제공들을 해결책으로 꼽았다.

책의 내용은 단순한거 같으나 단순하지 않다. 모멸감을 불러일으키는 요인들은 인간의 내재된 본성부터 대한제국부터 현대까지 역사적 사건까지 정말로 다양하다. 그리고 모멸감을 주는 행동도 다양해 모멸감을 주는지도 모르는채 모멸감을 주기도 하고 모멸감을 줄 생각이 없었지만 모멸감을 주는 행동까지 있다.

심리학에 관계된 내용인거 같으나 단순히 심리학이 아닌 사회학적으로 본 모멸감으로 책을 이해하면 된다. 모멸감에 대해 분석한 최초의 책인 만큼 읽을 가치는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