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하우스 - 드론 택배 제국의 비밀 스토리콜렉터 92
롭 하트 지음, 전행선 옮김 / 북로드 / 2021년 2월
평점 :
절판


- 일, 아파트, 취미, 안전..

당신이 원하는 모든 것이 있는 미래 기업 클라우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곳에 들어오는 순간, 당신은 결코 떠나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이 책을 다 읽은 지금..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한창 즐겨보던 미드 CSI에 나왔던 한 에피소드가 생각났다. 내용은 아이들을 한 공장 안에 가둬놓고 감시하에 아이들이 다이아몬드를 세공하고 있는. 그 아이들을 구출해내는 내용이었다.


'클라우드'라는 기업은 지금 우리도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택배' 사업이 주가 된 이야기다. 정확히는 '물건 배달 서비스'라는 이름하에 그 안의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미래의 이야기 같지만 곧 다가올지도 모를 이야기들이다. 


책에서 사람들은 '클라우드'에 입사하지 못해서 안달이다. 일할 곳도, 집도 없는 그들에게는 클라우드는 천상의 낙원이다. 입사하기만 하면 일자리, 집이 공짜다. 사람들이 원하는 안정적인 삶이란 주기적으로 돈이 들어오고, 내 몸 하나 누울 수 있는 공간이면 되는 게 아니던가.

그러나 이 곳에서의 삶은 생각하는 것과는 너무나도 달랐다.

일자리가 있어서 좋긴 했지만 그 일자리는 몸을 혹사하는 노동과 다름이 없었다. 손목에 차고 있는 시계가 지시하는 물건을 일정 시간 안에 일정 장소에 갖다놔야 했으며, 이 일의 결과로 그들의 등급이 결정되는데 빨간색이면 어김없이 해고다. 이렇게 되기 않기 위해 도움도 안되는 연장근무를 해야 하며, 관리자에게 잘 보이기도 해야 한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렇게 해야하는 건 지금 사회와 별반 다를 게없다. 

겉으로 보기엔 완벽하지만 클라우드는 하나의 거대한 좋은 말로 '기숙사'다.

손목에 차고 있는 밴드 하나로 모든 곳을 출입할 수 있지만, 인식시키는 순간 자신들의 행동은 감시를 당하게 된다. 밖으로 나가는 것은 관리자의 허락이 있어야 하며, 말하자면 쇼핑도 그 안에서. 취미생활도 그 안에서 해야 한다. 임금을 받고 있긴 하지만 최저 임금조차 보장이 안되는 생활이다.


클라우드를 세운 인물 '깁슨'이 했던 말 중에 기억에 남는 건 '어느 누구보다 노동인들이 일을 더 열심히 한다'는 거였다. 그들에게는 그만큼 그 일이 절실하기 때문인데 클라우드도 이런 사람들을 원한다고. 여기에 핵심이 다 있지 않나 싶다. 이건.. 그냥 사람들을 노동하는 기계로 대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살기는 좋지만 있는 사람들만이 잘 살 수 있는 사회.

가진 자들은 여유자적하게 시스템만 제공하면 되는거다. 돈은 노동자들이 알아서 벌어다 주니까.


이런 회사가 진짜 나타난다면... 생각만 해도 싫었다. 

자유를 보장받지도 못한 채, 일의 대가가 정당하지도 않다. 하물며 갇혀있는 생활이라니...

으으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