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 - 장애인과 어우러져 살아야 하는 이유 아우름 32
류승연 지음 / 샘터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장애인은 장애인이기에 앞서 나와 똑같은 사람이라는 점을 잊어버리곤 한다는 것입니다.

사람이기에 앞서 장애인으로 먼저 바라봅니다. 장애인은 '나와 같은 너'가 아닌 '나와는 다른 너'가 됩니다. 그러다 보니 장애가 있다는 것만으로 배척을 당하거나 오히려 특별대우를 받습니다.


이 책을 읽고 그동안 장애인을 봤을 때 내 행동이 어땠나를 생각해봤다.

빤히 쳐다보는 건 실례라는 걸 알았지만 그래도 힐끔거리며 눈길은 주었고, 이 책에 나오던 어떤 아가씨처럼 가까이 다가오면 '엄마야' 속으로 이렇게 소릴 내가며 피해다녔던 기억이 났다.


그리고 장애인이라고 하면 무조건적으로 도움이 필요할 것 같지만 이 책을 통해서 그렇지 않다는 걸 알았다. 비장애인들은 남들이 하는 걸 보면서, 또 눈으로 익히면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배우지만 장애인들에게는 그것조차 어려워서 계속 설명해주고 행동으로 가르쳐주면 나중엔 혼자서도 잘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확실히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같이 있는 학교의 아이들은 다르다.

전에 있던 학교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같이 수업을 할 수 있는 학교였다. 장애인이 있는 학급의 아이들은 담임선생님이 말하지 않아도 급우를 챙길 줄 알았고, 장애인이라고 다른 눈으로 바라보는 것도 없었다. 물론 이런 학생은 경증의 학생이었지만. 이 학교는 중증의 학생은 사실.. 수업하기가 힘들었다. 특수학급 교사도 있다고는 하지만 혼자서는 어떻게 하기가 어려웠을 거다. 나중에야 도우미 선생님이 같이 수업에 와 주고는 했지만.


장애인에게 무조건적인 도움은 필요없다. 남들에게는 느리고 답답해 보이지만 그들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천천히 나아가고 있다. 그들이 바라지도 않는데 내 '선의'를 보여주고자 손을 내밀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런 친절함은 오히려 불쾌감을 들게 할 뿐이라고 책에서 얘기한다.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오면 놀라는 것 한 가지가 있단다.

왜 한국에는 장애인이 별로 보이지 않냐면서, 그들은 어디에 있냐고 물어본다고 한다.

외국에서는 흔한 일들인데 우리나라는 장애인이 나오면 무조건 찡그리는 시선을 던지고 본다.

이렇게 무서운 시선을 보내니.. 그들이 맘 편하게 활동할 수 있겠는가.


우리의 인식이 변해야 한다. 그걸 알고는 있지만 정말... 쉽지는 않을 것 같다.


- '장애'보다 '사람'이 먼저 앞서야 합니다. 장애의 프레임 속에 갇혀 마냥 어린 사람으로 대하면 안 됩니다. 발달자애인도 제 나이에 맞는 사람으로 우리와 똑같이 존중해줘야 합니다. 그래야 속도가 느린 발달장애인도 사회적 관계의 올바른 맥락을 배워갈 수 있습니다.


이 말을 계속계속 되새겨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