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2 - 아스카.나라 아스카 들판에 백제꽃이 피었습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반도에서 기억되는 고구려, 백제,가야, 신라는

오롯이 돌로 남겨진, 붓으로 남겨진 

역사의 잔형이다.


그러나 일본에 남겨진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는

토기로, 벽화로, 불상으로, 목탑으로

어제의 역사를 오늘로써 보여주는 타임캡슐이다.


비록 바다건너, 하늘 너머에 있는 

이국의 문화재로 남겨져 있지만

그것을 깎고, 다듬으며

그 무운장구를 빌었던 

당대의 일본인은 

오늘의 한국과 피를 나눈 이웃이자 

갈 수 있는 변방이었다.


하지만 신라통일이라는 

역사의 변곡점을 뒤로하고

일본은 새바다의 동쪽에서 

새나라를 새운 도래인의 나라가 되어졌다.


아스카 옛도읍이 옛고향 백제를 떠올릴

수구초심의 땅이었다면

나라시대로 옮겨가는 헤이안시대는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으로 맞이하는

그야말로 신천지였다고 해야할까?


그래서 아스카사를 세운 소가씨보다

커져가고, 넓어지는 쇼토쿠태자의 법륭사는

자궁을 벗어난 아이의 새울음처럼 

이제 백제를 잊고, 일본이라는 나라를 

역사의 전면에 일으켜 세운다.


그렇게 대륙으로 부터 

한반도를 통해 문화의 종착지로써 

문예부흥의 꽃을 활짝 피운 일본 


청출어람 어제의 기억을 오늘처럼 남겨두며

장인의 옛손길을 여전히 공경하는 그네의 전통속에

100년전 역사조차 제대로 보존하지 못하는 

우리의 어리숙함을 탓하게 된다.


그리고 실사구시의 지혜로

도래인으로 부터 

임란의 도공으로부터

배우고, 또한 익히며 

일본식 일본화 일본문화로 

만들어버린 그들의 손끝에 

진정한 찬탄을 금할 수 가 없게된다.


그런 점에서 유홍준교수님의 답사기는

그야말로 감사함과 안타까움이 묻어난다.


일본에게

우리의 기억을 남겨주어 

우리의 기억을 살려주어 

감사합니다.


도래인에게

우리의 장인을 지키지 못하여

우리의 기술을 전하지 못하여

미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