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홍구와 함께 걷다 - 평화의 눈길로 돌아본 한국 현대사
한홍구 지음 / 검둥소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홍준의 문화유산답사기가 부드러운 변화구라면,
한홍구와 함께 걷다는 앞만 바라보는 돌직구이다.

반독재, 민주화의 경험을 토대로 
같은 장소에 다른 맥락을 부여하는 글솜씨가 놀랍다.


전쟁기념관이 가지는 불편한 이름과
여전히 동족상잔의 아픔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마는
정치세력에 관한 날선 비꼼이 설득력을 가진다.

그리고 이어지는 나눔의 집에서는
물리적 해방은 이루어졌지만, 정신적 해방은 
여전히 요원한 우리네 현실을 말해준다.
친일청산은 물론, 시대의 피해자조차 어루만져주지 못한
지난 시간에 대한 반성...여전히 국가의 사각지대에서
수요 집회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이어가시는 
그분들이 존경스럽다.

시간은 상처를 치유하는 게 아니라, 잊게할 뿐이다.
그에 가장 걸맞는 장소가 국립현충원이다.
독재와 반독재 그 사이에서 희생된 넋은 대통령과 서민을 
나누지 않는다. 그렇게 모순된 과거를 기리는 장소!
오늘도 호국영령에 대한 숭고한 넋을 추모하기 위한
국민들의 발걸음은 이어지지만, 그곳의 역설은 여전한
아픔으로 남아있다.

과유불급이라고 했던가? 조선의 정궁이었던 경복궁은
그 자체로 궁궐중의 궁궐이었지만, 
그렇기에 그 쓰임은 불필요했다.
흥선대원군이 왕실의 권위를 드높이기 위해 당백전을 발행하며
온 힘을 기울였지만, 왕조의 쇠락은 건축에 있는 것이 아닌
본인을 포함한 정치에 있었음을 그는 간과했다. 그래서일까? 
경복궁은 조선왕조 최악의 비극인 
을미사변이 일어나는 장소가 되어졌고, 
왕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기기까지는 
거대한 감옥으로 기능한다.

독립의 ‘독’이라도 나오면 잡혀갔을 어둑한 일제강점기
그래도 버젓이 형상을 유지했던 독립문은 
일본이 아닌 청나라로 부터의 독립이었다.
그리고 당시에 가장 크게 독립을 외쳤던 이는 불순하게도? 
이완용이었다.
그렇게 시대는 사람을 키우기도 하지만, 사람을 변하게도 한다.
그래서 그의 기막힌 인생유전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은 
매국 행위 그 자체 뿐만이 아니라, 
그의 삶 전반에 보이는 기회주의적 엘리트의 속성일 것이다.
독립군 자녀는 3대가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친일파 자녀는 3대를 넘어 부와 권력을 쥐게 된 
청산되지 못한 역사....
해방 60년이 넘어서야 친일 재산에 대한 
환수가 이루어진 현실에서
그들은 여전히 살아있는 권력이다. 

온 국토가 박물관이라 불릴 우리나라에서 
강화도는 전시대를 아우르는 묘한 특징을 가진다. 
고인돌로부터 시작하여, 
근대 건축물인 성공회교회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토착화 되어, 한국미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 놀랍다.
그렇게 작은 섬에 이르기까지 역사가 숨쉬는 땅 대한민국 
그 자체의 유구한 역사가 역시 쉬이 생겨나지 않았고, 
쉬이 사라질 수 없는 질긴 생명력을 강화도는 보여준다.

4.19와 5.16은 쌍둥이가 아니라 불구대천의 원수이다.‘
그러나 당대의 현실은 5.16에는 혁명을 
4.19에는 미완의 혁명 ‘의거’를 붙여두었다.
그렇게 반세기를 거쳐서야 다시 찾은 4.19혁명 
하지만 이름만 돌려받았을 뿐
그 혁명의 희생자에 대한 기억은 희미해졌고, 
그 곳의 제례는 형식이 되어버렸다.
뜨거웠던 4월의 피는 이제 식어 사라진 것일까?
하지만 그 저항의 피는 광장과 촛불로 이어져 
어제를 이어가고, 내일을 이어주는 씨앗줄이 되고 있다.

억울할때, 참회할때 찾아가는 성소가 있었다.
그리고 말없이, 돈없이 받아주는 그 분이 있었다.
명동성당의 김수환 추기경님
그 분의 몫은 그렇게 단순히 종교적 사제의 역할을 넘어
시대의 아픔을 몸소 치유하고자 했던 시대의 양심이었다.
하지만 사라진 그 분의 그림자에서 
이제 더 이상의 포용은 허락되지 않고 있다. 
집없이 쫓겨난 도시철거민에게 
말할 수 있는, 거할 수 있었던 
지난 과거는 이제 사진 몇장으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가장 먼저 서구문물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숙명을 가진 도시가 '인천'이다. 
그리고 그 속에 차이나 타운이 있다.
근대 조선에 있어, 수많은 화교가 유입되었지만
세계 유일의 실패한 차이나 타운으로 남은 대한민국
그 곳에는 지난 정부의 탄압이 있었고, 
우리네의 편견이 숨어있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의 흔적은 유일하게 짜장면이라는 
국적불명의 음식 속에서만 남아있었다.

책을 읽는 내내 교수님이 아닌 친구와 답사를 하는 느낌이었다.
때로는 울분을, 때로는 환희를 
그렇게 있는 그대로의 역사가 아닌
나로부터의 역사를 보여주는 시간 
그래서 책은 뜨거웠고, 가벼웠고, 즐거웠다.

한홍구 교수님과 함께하는 걸음이 
여기까지가 아님을 기대하며,
짧고도 긴 독서후기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