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 인생만을 생각하고 즐길줄 알았던 김작가. 주인공은 어머니를 그렇게 불렀다. 학교생활은 잘 하는지, 고민거리가 뭔지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 무심한 엄마. 그런 엄마를 주인공은 경멸하였다. 하나뿐인 엄마에게 쌓인 불만은 학교생활은 물론이고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도 지루하고 무심하다. 물려받은 피 때문인지 그렇게 경멸하는 엄마와 같이, 글쓰는것에 대한 집착은 삶의 존재이유가 될 정도다. 불안정하고 여유롭지 못한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현실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유일한 길은 글로써 자신이 꿈꾸는 세상을 펼칠수 있다고 생각되어지기에 현실의 삶에서는 반항적이며 타협하지 않으려 하지만 글을 매개로 하는 일들과 접할때는 심장이 뛰며 피가 들끓는다. 본능적인 욕구인 이성과의 끌림 역시 글에 대한 교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고등학교시절 틀에 박히고 따분한 학교생활의 굴레를 벗어난 반항기 있는 친구를 멋있게 생각하고 따라 다녔지만 그 역시 자기가 생각한 이상의 가치를 지니지 못한것을 알았고, 글을 세련되고 이쁘게 쓸줄아는 친구를 사귀었지만 이내 시시하고 따분함을 느끼면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아르바이트를 하며 멋있게 글을 쓰기위해 진짜 작가를 찾아가서 자기의 글들을 내밀었지만 유치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낙담한다. 김작가는 글을 쓰는것인지 동네 아줌마들과 수다 떨기위해서인지 구분을 못할정도의 클럽을 운영하며 자기 만족에 빠져있다.

 

이런 엄마를 뒤로하고 나이가 차서 선을 본 남자를 따라 미국으로 가서 네일아트 기술을 배우고 일을하며 글을 좋아하는 라이팅클럽을 만든 순간 자기의 삶도 엄마와의 인생과 별다른 차이를 못느끼는 현실을 느낀다.  엄마가 피폐해진 육체와 정신으로 정신분열 증세를 보이고 급기야 생명의 줄을 놓을 지경까지 다다르자 주인공은 엄마와 함께 살게된다. 생명의 불이 꺼지기 일보직전에 기사회생한 엄마는 신춘문예에 당선을 하게되고 진정한 작가가 된다. 주인공은 이런 엄마의 삶을 보면서 글을 쓰는것에 대한 새로운 의욕을 느낀다.
결국 글쓰는 작업은 인간의 삶을 알고 그것을 간결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것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