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해결 길라잡이 - 갈등은 상생을 위한 에너지다
박태순 지음 / 해피스토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최근에 미국 하버드대학의 교수가 저술한 "정의"가 전세계적으로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정의의 개념이 완전히 뒤바뀌는 경우도 있어 생각을 많이하게 하는 책이었다. 너무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책이라 과문한 나에게는 조금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는 감도 있었는데, 이 책은 조금더 피부로 와 닿고 직접적으로 원인과 결과 그리고 해법까지 제시해주어 읽기가 편했다.
 
갈등은 피곤하고 괴로운것이어서 피할려고 하는것이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갈등없이 사회가 발전할수 없다는것 또한 사실이기에 우리는 갈등을 잘 다루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갈등의 배경과 그 해결방안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갈등의 발생과 그성격>
1.갈등의 원인은 이해관계,가치,감정,의사소통부재,사실관계 차이등으로 발생하며 오랜시간을 거쳐 해결할수 밖에없는 경우도 많다.
2.갈등은 우리 생활의 일부이고 자연스러운것이며 인식과 행동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수 있다.
3.가급적이면 갈등이 심화되기전에 해결하는것이 효율적이며 바람직하다.
4.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못지않게 인관관계의 회복도 매우 중요하다.
5.두려움과 분노,죄책감과 수치심,체면손상등은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다.
6.상대자체를 불신하는것은 갈등해결에 도움이되지 않는다. 직면한 문제의 개별적인 사항을 분석하고 구분하여 대응하는것이 필요하다
7.타문화에 대한 관용과 이해없이 자기문화의 일방적인 주장은 갈등의 중요한 원인이다.
8.대체로 갈등은 복합적으로 얽혀있기 때문에 하나씩 차례로 원인을 떼어내면서 갈등의 강도를 낮춰나가는것이 중요하다.
 
<갈등해결 방안>
1.대체로 우리는 자신이 설정한 프레임을 통해서 세상을본다. 자신의 인식이나 판단에 한계가 있다는 열린자세로 문제해결에 접근한다
2.갈등이 심화된 상황에서는 시야는 좁아지고 감정에 매몰되는 경향이 있다. 감정을 벗어나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3.사실확인은 갈등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많은부분 검증이 힘든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의사소통으로 해결하는수 밖에없다.
4.사람들은 대체로 절차에 하자가 있는 결론은 수용하지않는다. 실제 논의할 논제와 절차에 대한 문제를 구분하여 준비해야 한다.
5.갈등이 심화되는것이 항상 나쁜것은 아니다. 그러나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고 극단화 되고 목적과 수단이 전도되는것이 문제인데 갈등이 심화되는것을 막거나 강도를 저감하기 위한 합법적인 통제장치나 제3자의 도움도 방법이 될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