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제비꽃 설탕 절임 - 에쿠니 가오리 첫번째 시집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에쿠니 가오리의 신작이 나온다고 해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워낙 시 쪽은 평소에 읽지 않을 뿐더러,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몰라 멀리 하고 있었다. 또 멀리했던 이유중, 시집이 만원이라는 이유도 있었을 것이다. 현재 국내, 우리나라에 나오는 시집들은 대부분 6천원~8천원 대 사이로 조금 비싸다는생각도 들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서평이벤트에 이 책이 나왔고, 그래도 한번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응모를 했다. 그리고 결과는, 운이 좋았는지 서평단이벤트에 당첨이 되어 책이 도착하자마자 꺼내 읽었다.

 

에쿠니 가오리의 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시점으로 보면 참 난해한 시이다. 문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의 시선으로 보면 이건 무슨 말장난 수준이라고 느낄정도이다. 하이쿠 같은 느낌도 드는 한편, 일상에 소소한 일들을 나열한 듯한 일기문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런데 한 권을 읽어나가면서 왠지 별로 좋은 것 같지 않은데도 내 마음을 꽉 움켜쥐고 흔드는 구절이 몇 군데 있다. 예를 들어 다섯살 이라는 시.

 

- 다섯 살 -

 

사탕으로 엮은 목걸이와/꽃다발 모양 초콜릿은/예쁘지도 않고/별맛도 없다는 것을/알고 있었죠/하지만/좋아했어요/사탕으로 엮은 목걸이와/꽃다발 모양 초콜릿은/사랑받고 있음의 증거/

 

이 시의 무엇이 그토록 나를, 며칠 내내 머릿속에 이 싯구절만을 떠올리게 하고, 무엇을 해도 이 시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만든 것일까. 사실 한 글자 한 글자 따져서 보면 그리 대단한 싯구절도 아닌것을, 무엇때문에 나는 이 시집을 읽고 이 시만이 강렬히 머릿속에 박혀 요 며칠을 그렇게 흘려보냈는지, 참 아직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언젠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를 읽고 1권 중간에 "나비에게 뼈대를 부여하는 것…" 이런식의 문장이 나왔었는데, 이문장을 본뒤로도 며칠 내내 이 문장이 머릿속에 남아 빙글빙글 돌아 밥 먹을때나, 무언가를 할 때마다 떠오르곤 했다. 그때마다 무기력해지던 내가, 또다시 이런 기분을 느끼게 될줄은 상상도 못했다.

 

이 시집 전체를 평가하자면, 우선 우리나라 정서와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문학도라서 하는 말이 아니라, 우리나라 시집을 읽다가 일본시집, 하이쿠 등을 읽어보면 왠지 말장난 같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뭐 우리나라 국내 시인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이런 식의 글을 써서 베스트셀러 시인이 되기도 했지만 말이다. 절대 폄하하는게 아니다.) 하지만 이 시집에는 정서와는 별개로 다른 무언가가 들어있다. 사실 천천히 시 한 편씩을 뜯어보면 감각적인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생각외로 몇 편 되지 않는다. 오히려 너무나 현실적인 상황들이라 더 감각적으로 느껴져간다.

 

달콤한 허무주의의 시. 이렇게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글쎄 난 아니라고 생각한다. 허무주의의 시라는 의견엔 동참하지만 절대 달콤하지만은 않다. 오히려 블랙코메디를 보는 기분이 드는 시도 상당 수 있고, 꽤 여러장르를 아우르는 시들이 몇 편 들어 있기 때문이다. 절대 달콤하지만은 않다. 달콤하지만은 않기에 더 이 시집이 마음에 든다.

 

시 가운데 꼭 정말 에쿠니 가오리 스러운 시들이 몇 편있다. 나만 그렇게 느끼는 것일수도 있는데, 난 참 이 시들이 에쿠니 가오리답다고 생각한다. 그녀의 작품은 다 읽어봤는데, 열 댓권이 넘는 그녀의 작품들이 꼭 이 시집에 다 들어있는 기분이다. 딱히 공통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래서 이 시집하나면 왠지 에쿠니 가오리를 다 꿰는 듯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개인적인 자만일까?

 

시집을 덮은 지, 이 책을 다 읽고 한번 더 읽고, 또 다시 한번 더 읽고 난 지금도, 위에 올린 다섯살이라는 시가 계속 머리에 맴돈다. 행복한 기분이다. 사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그 문장 뒤로는 더이상 이런 기분을 느끼지 못할 거라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비교적 짧은 시간에 다시 이런 기분을 느껴 기분이 좋다. 자, 그럼 다음은 어떤 문장이 나를 이런 기분에 빠지게 할까. 사실 하루키 이후론 기대하지 않았지만 이렇게 그 기분을 느끼고 나니, 다음엔 어떤 문장이 나를 이렇게 만들어줄까 하고, 은근 기대감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탄 피크닉 민음 경장편 2
이홍 지음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쾌한 소설, 재미있는 소설, 이 작가의 전작인 <걸프렌즈>와 비슷한 동향을 따르는 작품. 책을 펼쳐보기전엔 그렇게 생각습니다. 하지만 지금 책을 덮은 이 시점, 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책은 전혀 유쾌하고 재미있는 소설이 아닙니다. 좀더 무거운, 좀더 솔찍하게 말하자면 간담이 서늘해진 공포소설입니다.

이 책의 주요 포인트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소설의 외적인 면. 아기자기한 표지. 마치 로맨스 소설에나 어울릴법한 화사하고 발랄한 표지는 우선 이 책의 내용을 좀더 궁금케 만듭니다. 이유가 어찌됐든 사람들은 이 책이 이 표지 만큼이나 아기자기한 내용들, 사랑이야기로 가득한 그런 내용으로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저 또한 그랬기에.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책을 덮은 사람이라면 표지에 속았다는 것을 알게 될것입니다. 이 책은 무시무시한 살인소설, 호러소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내용과 대비되게 발랄한 표지를 넣은 것은, 어찌보면 내용의 무게감을 알 수 없게 하기 위함일지도 모르겠으나, 어쨋든 그 효과는 훌륭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는 소설의 내적인 면. 은비 - 은재 - 은영 의 시점으로 흐르는 이 소설의 전개법은 참으로 신선합니다. 첫째 둘째 셋째의 시점으로 풀어가는 게 아닌 그것을 조금 비튼 둘째, 셋째, 첫째의 시점으로 풀어가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이 저에겐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만약 형제, 자매들이 나온다면 첫째부터 이어지는 순서가 아닌 그것을 비튼 순서가 나름 재미있게 느껴졌습니다.

내용 적인 면에서도 이 책은 우리에게 재미를 줍니다. 조금 방탕한 삶을 살아가는 은비, 자폐를 앓으며 옆집 신혼부부의 아내인 인주와 관계를 가지는 은재, 현실에 쪼들리며 하루가 멀다하고 입사면접을 보러다니는 은영. 현실감이 없다 싶은 캐릭터같으면서도 가만히 그 속을 들여다보면 현재 우리들의 삶을 가장 투철하게 반영한 캐릭터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각각의 캐릭터가 분명한 인물들이 얽히면서 이어지는 에피소드들. 그리고 이 이야기의 핵심인 <최 원장의 살인>을 다루고 제각기 다른 행동을 보이는 캐릭터들의 모습도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강남소설이라는 장르를 한수 뛰어넘어, 강남권 소설보다 좀더 심층적으로 내용들을 파헤쳐가는 느낌을 주는.

과연 우리가 이 소설을 보고 강남권소설이라고 불러야 할 것인가? 하는 의문을 주는 이 소설의 무대입니다. 물론 소설 곳곳에 압구정동이라드니 삼성동이라더니 하는 식의 지명이 나오지만, 결국은 아무것도 아닌, 강남권의 소설이 아닌 소설의 형식을 따라 흐르는 전개도 재미있습니다. 

 

세 번째는 소설 앞뒤에 있는 CCTV 시점입니다. 사물의 시점으로 소설을 풀어간다는 방법은 우리에겐 익숙한 전개법입니다. 하지만 이 소설은 조금은 특별하게 그 시점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CCTV의 특성을 자세히 설명하지도, 그렇다고 사건의 중요한 역할을 하지도 않습니다. 주인공 세 명이 물론 CCTV를 조심하긴 하지만, 소설 텍스트 내에선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왜 그런 CCTV를 소설의 처음과 마지막에 집어넣었을까요. 그 이유를 찾아보는 것도 소설의 재미를 배가시키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