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딴지일보의 파토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에서 장대익 교수가 올해의 과학책으로 추천해준 책이다.

매우 특이하게 느꼈던 것은 행복이라는 추상적이고 가치지향적인 단어를 과학의 영역에서 다루고, 또 그것이 한해의 과학책으로 추천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지난 도서정가제시행 직전 구매해서 쌓아둔 책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구입할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은 행복에 대해 나와 같은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나온 책이다.

나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은 행복 자체가 인생의 목적으로서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치이자 목표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고민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행복 자체에 대한 오해로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었다. 저자는 이러한 일반인들의 행복론에 과학자로서 반론을 제시하고, 행복이란 무엇인지 여러 연구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예전에 읽었던 책에서 우리의 뇌는 구석기시대 그 훨씬 이전부터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 즉 지금으로부터 수만년전 동굴에서 생활하며 수렵생활을 하던 오직 생존만이 최고 가치였던 그 시대 조상의 뇌 그대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 같은 뇌를 가진 인간으로서 그 조상이 느꼈던 행복과 내가 느낄 행복은 그 개념과 용도에서 본질적으로 크게 다른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우리의 행복에 대한 그런 오해는 우리의 삶의 목표와 행복을 구분하지 못하고 주객이 전도되어 버리는 사고를 하게 되었던 것이다.

 

행복하기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살기위해 행복한 것..

그리고, 행복은 인생의 목표따위의 관념과 가치가 아니라 경험이라는 것..

얼핏보면 말장난 같지만, 우리 인간의 삶의 의미, 그리고 어떤 것이 진정한 행복인지에 대한 고민은 여기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가 우리 인간의 진정한 행복으로 제시하는 장면,,

사랑하는 사람과 음식을 먹는 것...

 

이 부분은 어떤 감동을 주기까지 한다. 행복은 이러한 경험들이 쌓이고 그리고 그것을 느낄 수 있는 그 자체였던 것이다.

행복의 핵심을 한장의 사진에 담는다면 어떤 모습일까? 그것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이다. 문명에 묻혀 살지만, 우리의 원시적인 뇌가 여전히 가장 흥분하며 즐거워하는 것은 바로 이 두가지다. 음식, 그리고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양계 연대기 - 지구와 그 주변의 잊혀진 역사를 찾아서
원종우 지음 / 유리창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 초창기의 딴지일보는 충격적이라고 표현할 만한 글들이 많았다.

내용의 쇼킹함을 말함이 아니라, 담고있는 컨텐츠의 표현방식의 낯설음과 터무니없음, 그리고 상상력의 재기발랄함이었다.

그 중에서도 몇몇 필자의 글을 정말 사랑하고 있었던 바.. 그중의 한명인 필명 파토의 글이었다. (정확히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ㅎ)

하지만, 그렇게 애용하던 딴지일보에 내 나름의 절독을 선언한 계기가 있었으니, 바로 그 유명한 황우석 논문조작사건이었다. (내 인생에서 가장 완벽한 절독은 동아일보였고, 그 다음이 딴지였다.)


2. 청소년기 가장 감명깊게 읽었던 책을 하나 꼽으라면 칼세이건의 "코스모스"를 들 수 있다.

무엇보다 당시 기준으로 감히 상상할 수 없던 총천연색의 칼라와 신기한 천체의 사진, 그리고 과학책으로만 느껴지지 않을만큼 서정적인 서술은 소년의 마음을 완전히 흔들어 놓았다. 그 이후로 밤하늘의 별은 단순히 어두운 밤하늘의 반짝이는 작은 빛만은 아니었다.


3. 나꼼수로 시작된 팟캐스트의 열풍은 정권교체실패와 함께 시들해져갔으나, 그 잠시의 침체기를 거치고 오히려 양은 물론 질적으로 오히려 다양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왠지, 과학을 주제로 하는 팟캐스트도 존재할 것 같아 검색하면서 "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라는 팟캐스트를 발견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파토라는 이 두글자가 너무반갑기도 했다.

따로 이 팟캐스트에 대해 글을 쓰고 싶지만, 한마디로 정말 "보석"같은 방송이다. 그저 감사하고 고마울 뿐이다. 이 방송과 관련된 모든 분들에게..


4. 이 책은 스스로 WWE를 표방하고 있다. WWE는 미국 프로레슬링이다. 예전에는 WWF 즉 Worid Wrestling Faderation이었으나, 같은 약자를 쓰고있는 환경단체와의 소송에서 패하여 WWE로 이름이 바뀌었다. 재미있는 것은 이 E가 Entertainment의 E라는 것이다. 굳이 스스로 Entertainment를 부정하지 않는 것이다. 승부가 쇼였다라는 한마디에 멸망으로 추락한 한국프로레슬링계가 보면 기가막힐 일이다.

 프로레슬링이 쇼라는 사실은 이제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흔히 간과하는 사실이 있는 데.. 비록 승부자체는 쇼지만, 그 결과에 다다르기까지의 과정 즉 액션은 쇼가 아니라는 것이다. 비록 극적효과를 더하기 위해 가짜피를 사용하거나,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대부분의 액션은 거구의 근육질 사내들의 땀과 훈련의 결과물이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비록 내가 그 진위를 판단할 능력은 없지만) 사진이나 과학적 사실 자체는 진실임을 표방하고 있고, 그 진실을 기반으로 저자가 고대초과학외계문명이라는 우주적 상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상상의 스케일은 태양계 전체를 아우르고 있다!!

 

5. 이 책을 읽는 내내... 비록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파토의 글과 상상력은 여전히 재기발랄하고 유쾌하단 사실이 반가웠다. 그리고 책말미의 외전 3 단편소설의 진지함은 이 우주적 서사시의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비장함까지 갖고있어 약간 급하게 마무리 짓는 듯한 책의 끝을 잘 맺고 있다. 


6. 이 책을 덮으면서 나도 그 김어준의 말이 저절로 입에서 터져 나오고 말았다.

      " 이 정도 설득력이면, 외계인은 존재해줘야만 하는 거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