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딴지일보의 파토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에서 장대익 교수가 올해의 과학책으로 추천해준 책이다.

매우 특이하게 느꼈던 것은 행복이라는 추상적이고 가치지향적인 단어를 과학의 영역에서 다루고, 또 그것이 한해의 과학책으로 추천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래서 지난 도서정가제시행 직전 구매해서 쌓아둔 책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구입할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은 행복에 대해 나와 같은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나온 책이다.

나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은 행복 자체가 인생의 목적으로서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치이자 목표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고민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행복 자체에 대한 오해로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었다. 저자는 이러한 일반인들의 행복론에 과학자로서 반론을 제시하고, 행복이란 무엇인지 여러 연구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예전에 읽었던 책에서 우리의 뇌는 구석기시대 그 훨씬 이전부터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 즉 지금으로부터 수만년전 동굴에서 생활하며 수렵생활을 하던 오직 생존만이 최고 가치였던 그 시대 조상의 뇌 그대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 같은 뇌를 가진 인간으로서 그 조상이 느꼈던 행복과 내가 느낄 행복은 그 개념과 용도에서 본질적으로 크게 다른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우리의 행복에 대한 그런 오해는 우리의 삶의 목표와 행복을 구분하지 못하고 주객이 전도되어 버리는 사고를 하게 되었던 것이다.

 

행복하기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살기위해 행복한 것..

그리고, 행복은 인생의 목표따위의 관념과 가치가 아니라 경험이라는 것..

얼핏보면 말장난 같지만, 우리 인간의 삶의 의미, 그리고 어떤 것이 진정한 행복인지에 대한 고민은 여기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가 우리 인간의 진정한 행복으로 제시하는 장면,,

사랑하는 사람과 음식을 먹는 것...

 

이 부분은 어떤 감동을 주기까지 한다. 행복은 이러한 경험들이 쌓이고 그리고 그것을 느낄 수 있는 그 자체였던 것이다.

행복의 핵심을 한장의 사진에 담는다면 어떤 모습일까? 그것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이다. 문명에 묻혀 살지만, 우리의 원시적인 뇌가 여전히 가장 흥분하며 즐거워하는 것은 바로 이 두가지다. 음식, 그리고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