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지니아 울프, 문장의 기억 (양장본) - 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하여 ㅣ Memory of Sentences Series 1
박예진 엮음, 버지니아 울프 원작 / 센텐스 / 2024년 1월
평점 :

버지니아 울프가 유명하다고 하니까. 문학적인 글을 읽고 싶어서. 그렇게 <버지니아 울프, 문장의 기억>을 집어들었다. 목차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에필로그인 '버지니아 울프의 유서'였다. 이 책에서 가장 먼저 읽은 부분도 이 부분이었다. 그래서였을까? 책을 읽는 동안 나는 내내 축축함을 느꼈다.
타인의 괴로움을 멈추기 위해 자신의 삶을 끝낸다. 잘은 모르겠지만 내가 괴로워 그만두는 것보다는 건강한 걸까? 너의 행복을 위해 내 목숨을 거두겠다는 건 실은 핑계에 불과한 건 아닐까? 결국 괴로운 건 버지니아 울프 본인이었으면서 그 감정을 타인에게 투사했던 건지도 모른다.
글이 축축하게 읽히는 것에 대해 경어체 번역 탓을 했다. 하지만 요즘은 자기개발서 중에도 경어체를 쓰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그 책들을 읽으면서 축축함을 느낀 적은 없다. 후반쯤 되어서야 이건 버지니아 울프의 감성이란 결론에 이르렀다. 버지니아 울프에 대해 잘 몰라서 입문서로 택했는데, 솔직히 여전히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어체가 아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버지니아 울프가 더 강단 있고, 의지가 충만한 사람이었으면 하고 바라는 나의 욕심이다. 개인적으로는 버지니아 울프의 명문장 소개보다 박예진 편역자의 작품 요약과 해설이 더 쏙쏙 들어왔다. 이게 참 기분을 묘하게 만든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내 마음에 너무 많은 소용돌이들이 지나갔다. 그래서 버지니아 울프의 문장이 좀더 축축하게 읽혔는지 모른다. 독서시기를 좀 잘못 잡았던 것 같다. 버지니아 울프에게 묻고 싶다. 치열하게 산 결과가 결국 그거였는지. 강한 척, 괜찮은 척 했지만 결국 괜찮지 않아 무너졌던 건 아니었을까? 그게 꼭 내 모습 같아 슬프다.
그래도 살아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