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 심장 훈련
이서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5월
평점 :
이서아라는 낯선 작가의 이름처럼 그의 소설도 그랬다. 이 소설들은 실험적이고 난해하며 거침없는 언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몇 편은 연작소설처럼 느껴졌다. 소설 속 화자의 기이한 행동은 마지막 수록작 『푸른 생을 위한 경이로운 규칙들』까지 읽으니 알 수 있었다. 결국 살아남기 위한 행위였음을.
_P.80
내 부모는 아주 많은 순간에 나를 수치스러워했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수치심을 연기했다. 서울의 사람들은 공공장소에서 울음을 터뜨리는 내가 당장이라도 죽기를 이 세상에서 사라지기를 기원하듯이 나와 부모를 노려 보았고, 그럴 때마다 부모는 성심성의껏 수치심을 공표했다. 저도 제 아이가 부끄럽습니다. 이런 아이를 낳아서 죽도록 죄송합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내 부모를 조금 용서했다. 나는 그 모든 걸 나와 무관한 연극을 감상하듯이 지켜보아야 했다.
『서울 장미 배달』
_P.130
”너는 아무것도 모르는 거야.“
나는 여전히 울고 있었다. 죄를 지은 아이는 이야기 밖으로 나올 수 없다. 이야기 안에 영영 갇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져버린다. 나는 어쩌면 언니를 다시 만나지 못할지도 모른다.
『악단』
_P.151
진희가 침묵을 깼다. ”악착같이 놀자, 악착같이, 모든 기념일을 다 챙기고, 모든 축제에 다 참여하고, 모든 하찮고 기쁜 일에 요란을 피우자.“ 그녀의 목소리는 기쁘기보다 화가 나 보였다. 매우 많이 화가 나 보였다.
『초록 땅의 수혜자들』
_P.245
그런 식의 기이한 충동, 해명 불가능한 충동이 나를 어떤 장소로 끌어당기거나 어떤 행위를 하도록 밀어붙이는 것은 익숙한 일이었다. 나는 종종 불가해한 것에 매료되고, 그것이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알면서 혹은 바로 그 무의미함 때문에 온몸을 던져 다이빙한다.
『사하라의 DMZ』
_P.333
우리는 신을 만날 수 없으니 스스로 판단하는 수밖에 없다. 뛰어내려야 할 때 움직이지 말라는 명령이 내려온다면 뛰어들라. 결코 물에 들어가지 않아야 하는 날에 입수하라는 명령이 내려온다면 수치심을 무릅쓰고 그곳에서 도망치라. 겉옷을 벗어던지고, 명령을 거역하고, 삶을 모욕의 구렁텅이에 빠뜨리는 수가 있더라도 일단 살아남으라. 일단 살아남아 돌아오라.
_P.368
다이빙이 끝나고 로그북을 적으며, 나는 바다에 가는 일과 글을 쓰는 일이 내게 생존의 문제였음을 알았다. 그러니까 예비 호흡기를 물고 있던 그 순간뿐만이 아니라 정말이지 평생 동안 내가 살고 싶어 했음을, 그러니까 아주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적잖은 양의 소설과 시를, 일기를, 이런저런 기록들을, 여러 장의 유서를, 거창한 버킷 리스트를 쏟아내듯이 쓰는 일을 통하여 내가 생존해왔음을 알았다.
『푸른 생을 위한 경이로운 규칙들』
✦ 문학과지성사에서 책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