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약국 현대문학 핀 시리즈 에세이 1
김희선 지음 / 현대문학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세이만큼 자신을 드러내는 글이 있을까. 소설은 허구가 섞이지만 에세이는 그렇지 않다. 마음에 드는 에세이를 만나면 작가에게 내적 친밀감이 생기는 만큼 그런 에세이를 만나기는 어렵다. 한동안 에세이를 읽지 않은 이유였는데 오랜만에 좋은 친구를 사귄 기분이다.

『밤의 약국』은 작가의 자연에 대한 사랑과 인간에 대한 애정이 돋보인다. 지금은 이전한 역에서 살던 꿩이 어디로 갔을지 걱정하고, 여러 날 보이지 않는 할머니가 다시 나타났을 때 안도하는 마음. 이 외에도 곳곳에서 작가의 다정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작가의 미완성 추리소설 『토끼 인형 살인 사건』을 언젠가 만나게 되기를.

_P.96
밤에 약국에 있으면 세상이 무슨 색인지 알게 된다. 그러니까 세계는 사실 검푸른색이거나 짙은 남보라색이고 낮의 온갖 다채로운 빛깔은 그 어둠을 덮기 위한 위장에 불과하다는 생각? 어디에 있었는지도 알 수 없던 존재들이 밤이 되면 여기저기서 나타났고, 환한 대낮을 걷듯 거리를 활보했다. 언젠가 내 소설 『무한의 책』에서 난 편의점이 밤이라는 바다를 밝히는 등대라고 썼지만, 오래전엔(왜냐하면 그땐 지금처럼 편의점이 많지 많지 않았으니까) 약국이 그 등대였다.
_P.122
인간은 살아야 하고,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한 가치이지만, 그럼에도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고통스러운 삶을 스스로 끝낼 권리를 달라고 투쟁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말기암이나 치료 불가능한 파킨슨병 등을 앓던 그들은 오직 한 가지만을 원했다. 평온하게 죽는 것. 독극물을 마시거나 목에 줄을 매거나 어딘가에서 뛰어내리지 않고, 가족들에게 둘러싸인 채 일생에 단 한 번뿐인 죽음을 조용히 맞이하는 것.
_P.155
만약 진정한 작별 인사가 가능하다면 우리의 삶은 지금보다 삼천 배쯤은 가벼워질 거다. 그러나 그것은 불가능하고, 하루하루가 지날수록 이루지 못한 인사들은 점점 더 쌓여만 간다.
그리고 어느 날, 난 발밑을 보고 알았어.
내가 밟고 선 땅이 바로 그 인사들의 무게라는 것을.
그 무게가 나를 지탱해주고 나는 거기에 기대어 심연같은 지상을 날아오르며 건너가는 거지. 무거워질수록 자꾸만 가벼워지며.
_P.236
특히나 “잘 말린 호프”, 이 다섯 음절을 나는 될수록 여러 번 더 발음해본다.
잘 말린 호프, 잘 말린 호프. 이게 나에겐 자꾸 희망을 잘 말리라는 것처럼 들리거든.

✦ 현대문학에서 책을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