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이런 말이구나!” 문해력의 기쁨 - 15년 차 교육 기자가 발견한 문해력 호기심을 깨우는 결정적인 한 방 나침반 시리즈 2
김명교 지음 / 언더라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이런 말이구나!" 문해력의 기쁨


15년 차 교육 기자. 조선일보 교육 섹션 <맛잇는 공부>와 <어린이조선일보>를 거쳐 <한국교육신문>에서 일하고 있는 저자, 김명교.


책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머무는 걸 좋아하고, 마음껏 책을 읽었던 어렸을 적 경험 덕분에 '읽고 쓰는 기쁨'을 아는 어른으로 자랐다고 한다. 그리고 이 좋은 걸 혼자만 알기 아까워서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고, 주말이면 도서관을 다니며, 이것을 혼자 경험하기 아까워 책을 지었다고 하니, 책의 내용이 더욱 더 궁금해졌다.






* 차례


1부 문해력이 재능인 시대

2부 글과 말을 이해해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3부 문해력 호기심을 깨우는 세 가지 태도 1: 읽는 태도

4부 문해력 호기심을 깨우는 세 가지 태도 2: 이해하는 태도

5부 문해력 호기심을 깨우는 세 가지 태도 3: 표현하는 태도


아이들이 공부할 때 무슨 말인지 몰라서 그 의미를 물어볼 때가 종종 있다. 그렇게 앞뒤 문맥을 파악하는게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아이들에게 해줄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슬까 생각하고 있던 차에 유익한 책을 만나 그 해답을 찾아갈 수 있었다.


해력이란 단순히 글을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영역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을 말한다고 한다. 흘러넘치는 정보와 데이터 사이에서 신뢰할 수 있는 내용을 선별해 받아들이고 조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




 * 글쓰기를 대하는 부모의 10가지 마음가짐

  1. 혼자보다 함께 쓰기

  2. 첫 기억이 끝까지 간다

  3. 아이들은 모두 작가다

  4. 말하기로 표현 연습부터

  5. 주제 결정권은 아이에게


  6. 짧게 시작하기

  7. 깜깐! 그 빨간펜을 내려 놓으세요

  8. 아이만의 표현을 존중하기

  9. 생각이 폭발하는 순간, 그때 쓰자

  10. 어린이 작가를 저자로

마지막의 "부록"부분을 읽으며, 꼭 실행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모님도 함께, 문해력 공부

- 스마트폰 디톡스

  • 외출 할 때 책 한 권, 노트 한 권 챙기기

  • 나만의 시간, 나만의 아지트 확보하기

  • 일기쓰기

  • 비판적으로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