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제나 민생을 염려하노니 - 조선을 움직인 4인의 경세가들
이정철 지음 / 역사비평사 / 2013년 2월
평점 :
대동법과 경세가들에 관한 역사이야기는 생각만해도 어렵게 느껴진다.
일단은 이 시대가 아닌 과거의 '법'이기 때문에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용어부터 낯설고
정치의 이야기도 너무나 먼 얘기인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은 다른것보다도 제목과 표지가 독자들의 흥미를 끈다.
대동법이 성립되는데에 공을 세운 경세가들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그들이 시대에 가진 문제점이 바로 '민생'이었다는 것을 제목에서 먼저 밝혀줌으로써
요즘처럼 '민생'을 쉽게 말하고, 또 그것이 국민이 강하게 요구하는 시대에 하나의 해소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만든다.
또 안의 내용은 무겁지 않게, 그러나 조선시대 정치계의 흐름을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어 페이지가 쉽게 넘어간다.
그리고 저자는 은연 중에 대동법이 성립될 수 있었던 것은 경세가들의 역량에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법제화될 수 있었던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었다는 것을 거듭 강조한다.
특히 요즘같은 때에 저자가 건네는 말은 왠지 더 의미심장하게 들린다.
그러나 조금 아쉬운 것은 '지금 우리는 어디쯤 와 있는가'를 어디서 느껴야할지 조금 난감하다는 것이다. 저자가 이 책을 쓴 첫 번째 고민은 학계밖의 사람들에게도 부담없이 읽힐 수 있는 책을 쓰는 것이었고 두번째는 시대를 고민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도 하나의 실마리를 보여주고자 했던 것 같다. 첫 번째는 성공적이지만 두번째는 쉽게 읽힐 수록 더 멀어지는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조선시대를 잘 모르는 나같은 독자, 특히 율곡 이이 말고는 이름조차 처음 들어보는 사람들의 생애와 고민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 이 책의 강점이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