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을 떠나며 - 1945년 패전을 맞은 일본인들의 최후
이연식 지음 / 역사비평사 / 2012년 11월
평점 :
대학생이 되고 얼마후, 당시에 고등학생이었던 사촌동생과 했던 대화는 종종 머리를 맴돈다.
어쩌다가 그런 대화를 하게 되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그 아이는 내게 빈정대는 투로
'일본은 나쁘고 미국은 좋아'!라고 말하며 반일감정을 여과없이 드러냈었다.
그 아이에게 일본은 전범국가, 미국은 조선을 해방시킨국가였다.
명쾌한 대답 앞에서 나는 할 말을 잃고 말았다.
우리는 종종 단순한 역사의식을 갖고 살아간다. 이분법적인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도 혹은 결과론적 평가만에 의지해서 말이다.
그러나 저자는 구술과 회고록, 신문기사와 같은 파편화된 자료와 사례들을 통해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도에서 벗어나 좀 더 종합적인 사고를 요구한다.
책 속에는 패전 이후 쫓기고 도망치고 훔치는 치졸한 인간군상들이 가득하고,
조선이라는 하나의 국가 안에서도 생활공간에 따라 자국과 식민지에 대한 인식이 천차만별인 본토일본인, 식민지일본인(남과 북), 식민지 조선인의 각기 다른 역사가 펼쳐진다.
즉,저자는 '역사의 비균질성'을 보여주기 위해 방대한 분량의 사료들을 정리하여 하나의 이야기로 풀어낸다.
일본과 조선, 그리고 해방 후 미군정에 이르기 까지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아주 작은 기록들까지 뒤져내
커다란 역사의 구조에서 찢겨져 나온 사람들의 생생한 기록에 의미를 부여한 저자의 노력과 능력에 감탄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동안 가해자로 여겨져왔던 일본인들이 우왕좌왕하고 역차별당하는 상황으로 그들에 대한 면죄부를 양산해내는 것은 아닌지 찜찜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단지 몰랐기 때문에, 혹은 무관심하고 무비판적이었기 때문에 가해자가 되었던 사람들이
패전이후에는 식민지민과 다르지않은 생활 혹은 '가해자'라는 틀을 벗어나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모습을 보면
가해자는 누구이며 피해자는 누구인지 골치가 아파온다.
쉽게 결론내리고 싶지만 그러려고 할 수록 손아귀에서 빠져나가는 모래알들은
역사라는 것이 얼마나 균열이 많고 규정하기 어려운 것인지 다시 알려준다.
이분법적 구조에서 벗어나자는 저자의 문제의식에는 크게 공감하지만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가해자 일본의 균열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감한 것은 아쉽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잃으면서 생기는 찜찜함이 해소되지 않는다.
'일본'-'조선'의 구도 속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명백히 나뉘어지지만
'일본인'을 무조건적으로 가해자라고 보기에는 어려운면이 있다는 것 정도가 결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