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의 역사 세트 - 전2권 ㅣ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이종석 지음,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역사비평사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북한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사실 북한에 대한 뉴스는 종종 눈에 띈다.
하지만 대체로 내용은 북한의 현실상황에 대한 '의외성'에 놀라거나, 북한체제의 불합리성-특히 인권유린에 대한-을 폭로하고 있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북한에 대해서 가장 위험한 국가중 하나로, 그리고 종종 희화화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근접해있는 우리는, 과연 북한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기존 역사교과서에서는 북한에 대해 거의 언급하고 있지 않다. 우리가 북한에대해 가장 많은 정보를 접하는 것은 뉴스인데, 그 내용들은 대체로 북한의 위험천만한 모습에 대해 다룬다.(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과연 북한은 처음부터 이렇게 '김정일부자의 유토피아'였을까?
이 책, 북한의 역사(1,2권)는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북한에 대한 선입견을 깨기 위해 부던히 노력한다. 북한의 체제가 처음부터 경직되어있는 것이 아님을, 역동성이 다분했던 국가였음을 설파하고자 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북한체제를 옹호하고 찬양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북한체제의 역동성이 어떻게 경직되어갔는가를 보여주는 것 뿐이다.
사실 그렇게 읽기 편한 책은 아니다. 다루는 시기는 북한정권 초기부터 최근까지이며, 저자는 북한이라는 국가에 대해 최대한 다양한 면을 보여주고자 하여 내용이 꽤 '풍부'하다. 그런데 이 책에서 나오는 많은 정보들을 이해하기에 우리는 북한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나 부족하다. 저자는 최대한 상세하고 상냥하게 북한이라는 국가에 대해 다양한 정보와, 편견없는 시각을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다만 걱정되는 것은 받아들이는 '우리'이다. 우리는 북한에 대해서 몰라왔다. 사람심리는 친숙한 것을 더 재미있게 받아들이고, 낯선 것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가진다.(하지만 반면 북한이라는 국가에 대한 호기심이 더 작용할 수도 있긴 하겠다.) 또한 2권이라는 분량을 독자들이 부담없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물론 각권이 다루는 시기가 다르므로 따로 봐도 되긴 하겠지만...)
서평을 쓰고 있는 내가 초등학생, 중학생일 적만 해도 통일에 대한 얘기를 종종 들었던 기억이 난다. 한 때에는 '오늘 새벽에 대통령끼리 만나서 통일을 했다더라.'라는 소문도 돌았었다. 그런데 요즘, 통일에 대한 얘기를 듣기가 참으로 힘들다.
이 책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바라지 않는다. 다만 북한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관심을 갖기를, 그리고 선입견없이 그 국가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통일을 이루자!'라는 거창한 목표가 아닌, 사람들이 북한이라는 국가에 대해 느끼는 이질감을 줄이기를 바라는 것이다.
책을 읽은 나 역시 매스컴의 자극적인 기사들을 통해 가지고 있던 북한에 대한 선입견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의 역사를 통해서 국가가 어떻게 역동성을 잃어가는지를 차분히 볼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오히려 현재 남한의 경직화된 사회를 느끼는 것은 과연 나만의 착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