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싱킹 - 속도를 늦출수록 탁월해지는 생각의 힘
황농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일이나 공부에 온 힘을 쏟아 집중해본 적이 있나요? 성취 결과에 상관없이, 하고 난 뒤의 감정은 어땠나요?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을 만큼 지겹고 힘든 기억만 있는지 아니면 즐겁고 보람 있었던 경험이었는지에

따라 다른 생각법 차이를 가져온다. 그것이 바로 < 슬로싱킹>의 차이이다.


슬로싱킹은

생각할 때 괴로움이나 스트레스 없이 편안하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되, 집중하는 주제에 대해서는 생각하기를 1초도 멈추지 않겠다는 자세로 생각의 끈을 붙들고 있는 방식이다.<슬로싱킹 중>


성취와 성공은 뛰어난 사람이나 좋은 직업을 가진 사람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우리도 고도의 몰입 상태에서는 자신이 바라는 것들을 성취할 수 있다. 생각의 습관을 바꿀 때 집중도가 높아지고, 내가 하는 일의 진정한 가치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몰입을 하려고 해도 우리 주변에 방해요소(인터넷, 유튜브, 모임 등)들이 많다. 이런 것들을 책에서는 '몰입 장벽'이라 일컫는다. 이런 몰입 장벽을 넘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는 '슬로싱킹'이다.

슬로싱킹을 스스로 습관화하여 슬로싱커가 되도록 해야 한다.


장기 몰입은 자신을 관리하면서 꾸준히 실천해나가야 한다. 몰입의 원칙 중 '1초도 생각을 놓지 않는 연습''하루 30분씩 규칙적인 운동'은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하루에 해야 할 일도 많은데 하고 있는 공부나 일에만 1초도 생각을 놓지 말라는 것에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몰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책을 읽는 중에 지인이 보낸 카톡에 답변하고, 인터넷 기사도 몇 개 보다 보면 10분 정도는 훌쩍 지날 때가 많다. 그러고 나서, 다시 읽던 책을 보면 이전보다 집중이 잘 안되고, 흐름이 끊겨서 읽었던 이전 페이지를 다시 읽을 때도 있다. 잠깐 다른 일하는데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에 몰입이 되지 않아 끝내기까지 시간이 지연되거나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이 현재 하는 일과 공부에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생각하고 진행해야 슬로싱킹 장기 몰입이 가능하다.

또한, 하루 30분 규칙적인 운동은 어떤 일을 하던지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현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헬스장을 꾸준히 다니긴 어렵지만 예전에는 규칙적인 운동으로 몸과 마음이 가벼워지는 것을 많이 느꼈었다. 시간이 부족한데 운동까지 하면 하던 것을 마무리 못할 것 같지만 오히려 공부나 일을 할 때 집중도 잘 되고, 체력적으로 덜 지치는 것을 경험해 봤다. 요즘은 가까운 공원이나 동네라도 30분 정도 걷고 오면 좋을 듯하다. 장기 몰입의 원칙 11가지를 다 지키긴 어려워도 이 두 가지만이라도 간단히 실천해보면 생각 습관을 바꿀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의 교육을 비교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두 나라 모두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 관심이 상당히 많다. 하지만 교육철학만큼은 확연히 다르다. 유대인 부모는 좋은 두뇌를 물려주고, 우리나라 부모는 좋은 학벌을 물려주려고 한다. 얼핏 보면 둘 다 연관 있지 않을까 싶지만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은 잘 알 듯이, 시험에 집중하고 점수를 잘 받아 최종적으로 유명 대학에 입학하기는 목표에 두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의 성취감이나 즐거움은 거의 반영되지 않는다. 그저 주입식 교육에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이 승자가 되는 방식이다. 멀리서 찾을 필요 없이, 우리 학창 시절을 돌이켜보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그래서 정답을 맞히는 것에는 익숙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는 서툴다.

하지만, 이스라엘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할 기회를 주어 두뇌를 개발하는 것에 집

중한다. 다시 말해, 좋은 두뇌를 만들기 위해 창의성 교육을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점은 잘 되는 주체가 다르다. 나만 잘 되는 것인지 우리가 다 잘 되길 바라는 것인지 이다. 나만 잘 되는 것에만 목표를 두면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사회 전체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유대감을 느끼고 우리가 다 잘 되는 것을 바란다면 사명감과 리더십은 자연스레 따라온다. 이스라엘의 교육은 절대적으로 답은 아니지만 우리 아이 시대에는 우리가 경험했던 교육철학과는 다른 변화는 필요해 보인다.


이 책에서는 슬로싱킹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모든 것을 한 번에 적용할 수는 어렵겠지만 슬로 싱커가 되기 위해 매일 생각하고 몰입하는 연습은 필요하다. 바쁜 직장인이라도 잠자리 들기 전, 출퇴근 버스, 주말 중 하루 같은 자투리 시간을 내서 할 수 있다. 예전에 어떤 문제에 대해 고민하다가 아무리 생각해도 답을 찾을 수가 없어 대수롭지 않게 넘어갔었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답이 보이지 않아도 고민을 계속했다면 지금쯤 그 답을 찾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나에게 생기는 문제와 고민은 해결이 될 때까지 슬로싱킹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생각의 습관 변화를 깨닫게 해준 <슬로싱킹> 으로 내년에는 좀 더 자신감을 가져보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